윤영관 외교 전격경질 파장-한미동맹 틈새 벌어지나

입력 2004-01-16 14:10:23

윤영관(尹永寬) 외교부장관 경질에 대한 파장이 깊어지고 있다.

한미동맹외교의 기본방향이 '자주외교'로 급선회하는 것으로 비치면서 한미동맹관계에서 적잖은 변화가 예상되자 미국측이 촉각을 곤두세우기 시작했고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직접 경질배경을 설명했지만 윤 전 장관은 이임사를 통해 '자주외교'에 대한 우려를 가감없이 드러냈다.

노 대통령은 이날 낮 청와대에서 가진 중앙일간지 경제부장들과의 오찬에서 "윤 장관 경질문제는 외교부와 NSC간의 갈등과는 관계가 없다"면서 윤 장관을 경질했다는 사실을 분명히 했다.

청와대는 이날 오전까지도 사표를 내서 수리한 것이지 경질이 아니라고 발표했고 윤태영(尹太瀛)청와대 대변인도 경질은 아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갈등이 있으면 내가 조정하면 된다.

결론을 내고 난 뒤에 브레이크를 걸면 그건 대통령에 대한 항명"이라면서 이번 인사가 '항명'에 대한 문책인사라는 점을 거듭 확인했다.

노 대통령은 "외교부 직원들에 대해 경고하고 인사조치하려고 했는데 (윤 전 장관이) 책임지고 해결하겠다고 했다.

그런데 약속이행이 되질 않았고 더 악화됐다"고 말했다.

하루 앞선 연두회견에서 노 대통령은 "때때로 대통령의 정책을 바꾸려는 사전 정보유출이 있었고 정책이 확정된 이후 세부정책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사전 정보유출이 있었다"고 말했다.

정찬용(鄭燦龍) 인사수석은 "외교부 일부직원들이 과거의 의존적 대외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참여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자주적 외교정책'의 기본정신과 방향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다"면서 자주외교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윤 전 장관은 이날 오전 외교부청사에서 열린 장관이임식에서 "국제정치를 바라보는 시각이 균형잡히고 좌우로 치우치는 것이 아닌 신중한 관점이 돼야 하는데 우리는 아직 그렇지 못하다"면서 "그런데 마치 한국이 국제정치의 공백속에서 유럽 어디에 존재하는 것처럼 말한다"며 NSC를 중심으로 한 '자주외교론'을 비판했다.

그는 "남북간 평화가 아직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동맹은 중요하다"면서 "한국은 공백상태가 아니라 관계속에서 존재하는데 이 상황에서 미국관계는 대단히 중요하다.

일부 의원이 말한 숭미(崇美)는 적절한 표현이 아니다.

자주적 관점에서 하는 '용미'(用美)와는 구별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