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적인 조정 대상이 된 경북지역 선거구가 현역 국회의원들의 이해 관계와 불출마 의원의 속출, 그리고 인구 격감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요동치고 있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선거구 획정 지연으로 선거 준비에 큰 차질을 빚고 있는 예비후보들은 최종 선거구 조합이 어떻게 이뤄질 지를 '목빠지게'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또 그동안 출마 준비를 해온 후보들도 선거구 획정 여부에 따라 당락이 좌우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출마 여부를 원점에서 재고하는 경우마저 나오고 있다.
경북 도내에서는 의성.군위 선거구와 청송.영양.영덕 선거구 그리고 봉화.울진 선거구 등 3곳은 조정 대상이다.
인구가 8만3천명선에 그치고 주진우(朱鎭旴) 의원의 불출마로 통폐합이 불가피한 고령.성주와 칠곡의 조합은 이미 기정사실화 되다시피 해 이론이 없다.
군위.의성 선거구는 지난해 11월말 인구가 9만7천여명으로 10만명 선을 밑돌았다.
어떤 경우라도 조정이 불가피한 경우다.
또 정창화(鄭昌和) 의원의 불출마로 공중분해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역 의원이 있는 경우는 아무래도 선거구 조정작업시 의견이 상당히 반영될 가능성이 많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인근 지역구 의원의 이해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청송.영양.영덕 선거구 역시 11월말을 기준으로 한다면 9만9천345명으로 10만명에 못미친다.
김찬우(金燦于) 의원 역시 불출마한다.
인구는 청송이 3만2천여명, 영양이 2만명을 겨우 넘겼고 영덕은 4만7천여명 선이다.
봉화.울진 역시 10만282명에 불과해 12월말 기준으로 하면 10만명을 밑돌 수도 있다.
봉화 인구는 3만9천여명이고 울진은 6만1천여명이다.
이를 근거로 지금까지는 군위.의성.청송(12만9천83명) 선거구를 만들고 영덕.영양.울진(12만9천279명) 선거구가 유력하게 거론됐다.
그러나 김찬우 의원과 정창화 의원의 불출마로 선거구 획정의 밑그림이 흔들리고 있다.
이상득(李相得) 한나라당 경북도지부장과 울진이 선거구인 김광원(金光元) 의원이 새로운 안을 선호한다는 전언이다.
김 의원과 정창화 의원 지역구의 '공중분해'를 통해 인근 선거구를 보강하고 새로운 조합을 만드는 것이다.
새로운 안은 군위.의성 선거구를 쪼개서 의성을 청송과 영덕에 합치는 것(14만7천150명)이다.
울진.봉화는 영양을 다시 추가(12만1천118명)해 15대 총선 때의 지역구로 환원시키는 것도 포함돼 있다.
군위는 인구 하한선을 지키기에 '힘겨운' 영천(11만2천800여명)과 합치게 된다.
울진.영양.봉화 선거구에서는 울진의 우월적 위치는 더욱 확고해질 것이다.
영양이 2만836명, 봉화가 3만8천947명인 반면 울진은 둘을 합한 것보다 많은 6만1천335명이나 된다.
울진이 근거지인 김광원 의원이 가장 선호하는 구도다.
그러나 봉화는 영주 생활권이다.
또 의성.청송.영덕 선거구에서는 의성과 영덕이 청송의 표를 놓고 대결을 벌이는 구도가 될 전망이다.
의성은 6만8천여명이고 영덕은 4만7천여명이지만 청송은 3만1천명이다.
지금까지 한 선거구였던 영덕과 청송을 합치면 7만8천여명이므로 의성보다 1만명이 많다.
다만 이 선거구는 동서의 길이가 100km를 넘고 생활권도 내륙과 해안으로 나뉘는 등 너무 이질적인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