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올해 1일부터 달성군 논공과 현풍지역의 택시할증료 폐지결정을 내렸으나 현지에서는 여전히 할증료(20%) 운행이 계속되고 행정기관과 택시기사들간의 갈등도 증폭되고 있다.
특히 양측은 대구시의 할증료 폐지 결정에 결정적 기준이 된 '현지 주민 설문 조사'방식 등을 둘러싸고 감정적 마찰까지 빚고 있다.
시는 지난달에 현풍 등 남부지역 4개읍.면 이장과 새마을지도자, 번영회원 등을 대상으로 할증료 폐지 찬반 설문조사를 실시할 것을 달성군에 요청, 읍.면의 응답자 318명 중 폐지찬성 214명(67%), 반대 104명의 조사결과를 통보받았다.
시는 또 당시 폐지여부에 대해 '달성군수 의견서'를 요청했으나 군은 아무런 의견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현풍 등 남부지역 기사들은 "시가 조사 대상으로 선정한 번영회원 등은 1년간 택시 한번 타지 않는 지역유지들인데 현지 택시사정을 어떻게 알 수 있느냐"며 설문조사의 대표성에 이의를 제기했다.
개인택시운송조합 달성군지부 엄영두 지부장은 12일 대구시와 달성군을 잇따라 항의 방문, "택시 주고객인 오지 주민과 달성공단 근로자 등을 제쳐두고 지역유지 일색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를 폐지의 판단근거로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엄지부장은 또 "할증료 운행을 계속하다 행정기관이 단속에 나서면 40여대의 택시 모두 논공과 현풍에서 즉각 철수할 것을 결의한 상태"라고 밝히고 "그러나 시측은 '할증료 폐지로 영업에 타격을 입으면 대구시내에서 영업하면 될 것 아닌가'라며 무책임한 자세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박창대 대중교통과장은 "95년 광역시 편입뒤 할증료를 52%까지 적용해오다 지난 2002년 20%로 낮추면서 '2003년12월말'까지로 한시적인 적용을 하기로 결정됐었다"며 "할증료 관련민원이 생기면 달성군에서 즉시 단속하도록 지시했다"고 시측 입장을 밝혔다.
한편 달성군은 "민원이 발생하면 단속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을 기사들에게 전달할 뿐 별다른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강병서기자 kbs@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