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엔 자칫 잘못하면 '골병'
낙상 골절
겨울철에는 낙상(落傷)으로 인해 뼈가 부러져 병원에서 고생하는 노인들이 많다.
아차 하는 순간에 '골(骨)병' 드는 것이다.
해마다 65세 이상 노인 3, 4명 가운데 1명꼴(28~35%)로 낙상을 겪는다.
특히 골다공증이 심한 여성이 남성보다 2배나 잘 다친다고 한다.
◇약한 뼈, 작은 충격에도 골절
젊은 사람의 경우 잘 넘어지지 않지만 넘어져도 큰 부상을 입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노인들은 균형감각 저하, 보행능력 장애, 인지기능 장애, 하체 부실 등의 이유로 넘어지기 쉽다.
특히 날씨가 추우면 빙판길이 많은데다 관절이 굳어지기 쉽고, 운동능력, 근육의 힘, 신체평형 능력 등이 더욱 떨어져 낙상 위험이 더 높다.
낙상의 여파는 찰과상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손상까지 다양하다.
가장 치명적인 것은 고관절 골절. 고관절은 허벅지뼈와 골반이 연결되는 부위로 엉덩방아를 찧었을 때 골절이 올 수 있다.
살짝 엉덩방아를 찧어도 척추압박골절, 넘어지면서 손을 잘못 짚으면 손목과 팔꿈치 사이의 뼈가 부러지고, 옆으로 넘어지면서 엉덩이 바로 아래의 대퇴골 골절을 입기도 한다.
자리에서 일어나면 어지럼증을 느끼는 기립성 저혈압 노인들은 낙상 위험이 더욱 크다.
약물 복용으로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수면제, 진정제, 항우울제, 고혈압약 등은 중추신경의 작용을 억제하거나 일어설 때 저혈압을 일으켜 넘어질 수 있다.
◇빨리 치료해야
신속한 치료가 우선이다.
뼈가 완전히 부러지면 통증이 심해 곧 병원을 찾지만 금이 가거나 부러진 뼈가 서로 맞물리면 큰 고통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참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통증을 참고 지내다가 끝내 사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노부모의 행동변화를 잘 살펴야 한다.
노인 골절의 심각성은 회복이 더뎌 오랜 병상생활을 필요로 한다는 점. 김학수 하나연합정형외과 원장은 "노인 골절의 경우 뼈가 약해 보통 1개월 이상의 병상생활을 하게 되는데 이는 운동부족으로 이어져 폐, 심장, 근육 등의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며 "또한 폐렴, 피부괴사, 심장질환 악화 등 합병증을 초래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예방이 최선
몸의 유연성을 유지시켜 주는 맨손 체조가 낙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외출할 때에는 잘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로 된 신발이 좋다.
지팡이를 짚는 것이 안전하다.
시력장애가 있다면 외출할 때 반드시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집 안에서도 조심해야 한다.
화장실에서 슬리퍼를 신다가 미끄러져 낙상을 당하는 경우도 많다.
평형장애가 있는 사람은 술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아주 적은 양의 알코올에도 많은 장애를 받을 수 있기 때문.
위험이 높은 노인은 엉덩이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보호자와 함께 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골다공증 유무를 진단한 뒤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평소에 칼슘 섭취를 높이는 식습관이 필요하다.
김교영기자 kim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