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지난 대선 직전 삼성그룹과 금호그룹으로부터 받은 122억여원을 유용한 것으로 검찰수사 결과 드러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불법대선자금 악몽이 되살아난 듯 촉각을 세우며 검찰을 주시하고 있다.
그러면서 12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및 측근들이 수수한 불법대선자금이 한나라당의 10분의 1을 초과했다"며 맞불을 놓았다.
◇"한나라 계좌 입금 안돼"=삼성과 금호가 한나라당에 채권과 양도성 예금증서로 건넨 122억7천만원이 유용 또는 횡령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이다.
검찰 주변에서는 삼성이 준 112억원어치 채권의 최초 수령자인 서정우(徐廷友) 변호사(구속)의 진술과는 달리 이 돈이 당에 유입되지 않았다는 설이 흘러나왔다.
서 변호사는 당초 검찰에서 "당 관계자에게 돈을 전달했다"고 밝혔었다.
그러나 최근 검찰의 계좌추적 결과, 이 돈이 당에 입금된 흔적이 없는 데다 얼마 전 검거된 한나라당 전 재정국 직원 박모씨 등도 "채권을 받은 일이 전혀 없다"며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또 한나라당 김영일(金榮馹) 의원(구속)이 대선직전 금호그룹에서 양도성 예금증서와 국민주택채권 등으로 받은 10억7천만원도 당 계좌에 입금되지 않은 사실을 밝혀내고 이 돈의 행방을 좇고 있다.
김 의원은 검찰조사에서 "중소기업하는 친구에게 바꿔 당에 입금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검찰수사 소식이 전해지자 한나라당은 충격에 휩싸였다.
그러나 "지금의 당 지도부와는 무관한 일"이라며 구체적 언급은 피한 채 대신 이회창(李會昌) 전 총재에게 눈길을 돌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돈의 유용처가 이 전 총재 사조직에 흘러갔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당 한 관계자는 "서 변호사가 언급한 '당 관계자'는 이 전 총재의 측근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전 총재가 가.차명 계좌를 두고 돈을 관리했으며 현재까지 계좌에 돈이 남아있다'는 설도 회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나라당의 역공=수세에 몰린 한나라당이 즉각 반격에 나섰다.
"노 대통령과 측근의 불법자금이 한나라당의 10분의 1을 넘어섰다"며 당 전략기획팀 내부문건까지 공개했다.
이 문건의 공개는 최병렬(崔秉烈) 대표의 지시에 의해 이뤄졌다.
문건에 따르면, 노 대통령과 측근의 수수액이 현재까지 파악된 것만 80억2천만~82억2천만원이라고 밝히고 있다.
검찰이 지난 12월29일 발표한 61억7천550만원에다 문병욱(文炳旭) 썬앤문 그룹 회장이 건넨 5천만원, 대우건설이 제공한 7억~8억원, 금호그룹의 10억원, 정대철(鄭大哲) 의원(구속)이 중견기업으로부터 받은 1억~2억원을 합치면 최고 82억원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한나라당은 "검찰이 아직 수사하지 않은 부분의 불법자금 규모가 459억원에 달한다"며 △삼성그룹이 전달한 10억원 △이원호씨 수사무마 대가 53억원 △김성철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및 부산지역 건설업체가 건넨 300억원 △썬앤문 감세청탁 및 농협부정대출의 대가 95억원에 대한 수사에 착수하라고 촉구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