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13일 오후 2시 대구시청 10층 회의실에서 '대구테크노폴리스 및 연구개발 집적지구 조성 기본계획' 최종 용역결과 보고회를 갖고, 대구테크노폴리스 입지 후보지역으로 달성군 현풍 신도시 일대와 위천리 일대, 동구 율암.각산동 일대 등을 꼽았다.
그러나 대구테크노폴리스 조성 타당성 조사 용역비 40억원이 지난해 말 국회 예산심의에서 전액 삭감된데다, 대구테크노폴리스가 조성되더라도 이곳에 입주할 의사를 가진 기업들이 지극히 적어 대구테크노폴리스 사업추진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전망이다.
STEPI는 이날 총 사업비 1조8천109억원(국비 1조280억원, 지방비 5천619억원, 민자 1천725억원, 기타 485억원)을 투입해 164만3천평 규모의 대구테크노폴리스를 조성하는 계획을 보고하면서, 설치 또는 유치할 주요 기관으로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경북대 이공계 대학 및 산업기술대학원 △전자통신연구원 부설 디스플레이연구소 △낙동강환경연구소 △(재)대구테크노폴리스 등을 지적했다.
하지만 대구테크노폴리스 계획 자체가 국가적 인정을 받지 못함에 따라 법률에 의해 설립이 확정된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를 제외한 나머지 기관의 설립 및 유치, 이전에 대한 구체화 된 계획이 없어 대구테크노폴리스 계획의 실현 가능성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다.
특히 DKIST 설립에 관한 법률은 DKIST 설립에 관한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설립위원회의 구성을 대구시와 경북도, 과학기술부, 국회에서 추천한 5명을 과기부 장관이 위촉하도록 하고 있어 대구시 단독으로 구상하고 있는 대구테크노폴리스 계획과 대구시와 경북도 정부의 공동 사업인 DKIST의 설립이 별개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더욱이 STEPI가 기업들(전체 1천12개)을 대상으로 대구테크노폴리스 입주의향을 조사한 설문에서도 8.8%만이 입주의사를 밝혔고, 후보지 1순위로 지적된 현풍 신도시에 입주하겠다는 기업은 2.7%(27개)에 불과했다.
지역 전문가들은 "아무리 많은 돈을 투자해 인프라를 갖추더라도 기업과 고급두뇌들이 외면하는 곳에서는 성공적인 산업클러스트가 형성될 수 없다"며 "더구나 거대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삼성, LG, 현대, 포스코 등 대기업의 참여를 이끌어 내지 못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는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대기업과 민간투자의 적극적 참여가 사실상 어렵다면, 새로운 산업클러스터를 인위적으로 만들려고 애쓸 것이 아니라, 국내 주요 대기업의 거대 생산기반을 이미 갖추고 있는 대구와 구미, 포항 사이의 초광역 산업클러스터를 더욱 활성화 시키는 방향으로 과학기술 및 경제산업 정책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현실적이다"고 조언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테크노폴리스 용역 연구결과는 오는 3월 설립될 DKIST 설립위원회에 참고자료로 제출될 예정"이라며 "DKIST를 대구테크노폴리스 계획에 종속시켜 일방적으로 추진하려고 한다는 일부의 오해는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민병곤기자 minbg@imaeil.com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