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법의 국회 통과로 공공기관 지방 분산이 지역의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대구, 경북이 유치전에서 타 지자체보다 우위에 서기 위해서는 '대구-경북 공공기관 공동유치단'을 만들어 체계적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열린우리당 이강철(李康哲) 상임중앙위원은 2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100여개 공공기관 유치전이 지자체간에 치열하게 벌어질 것"이라며 "대구와 경북이 서로 경쟁 상대가 되면 곤란하므로 공동유치단을 만들어 가동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또 "무턱대고 특정 공공기관에 대한 유치 희망만 전달해서는 안되고 유치전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나름의 명분이 있어야 한다"며 "대구.경북이 공동유치단을 만들어 유치 논리를 개발하고 로비전을 펼치는 등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공공기관 유치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기홍(權奇洪) 노동장관도 "지역의 발전 전략은 지역이 짜야한다는 것이 참여정부의 정책기저"라며 "지역특성과 지역발전 방향에 부합하는 기관의 유치를 합당하게 추진하면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이어 "대구의 경우 지하철 참사를 겪은 만큼 안전산업 유치를 추진해도 된다"며 "산업파급 효과가 큰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 등 안전산업 관련기관도 있는 만큼 소방방재청이 무산됐다고 지레 안전산업에 대한 관심을 거둬들일 이유가 없다"고 귀띔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희망 공공기관을 각각 선정해 유치활동을 펴고 있으나 해당기관의 반발과 타시도의 견제를 우려해 쉬쉬하는 형편이다.
지방분권국민운동 김형기(金亨基) 의장은 "쉬쉬한다고 올 수 있는 공공기관이 안 오는 것은 아니다"며 "충분한 연구검토로 지역발전 방향을 잡고 이에 합당한 기관을 선정, 공론화를 통해 공감대를 확산해 나가는 것이 되레 유치전에서 유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또 "참여정부는 정부부처를 신행정수도에 집적화한다는 방침이지만 산자부, 건교부 등 집행부처는 분산해도 무방한 만큼 이에 대한 적극적 논의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