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여.야 의원들이'중국의 역사왜곡 중단 촉구 결의안'을 제출한 것은 시의적절한 조처로 생각된다.
뚜렷한 대책 없이 사태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정부에 대해 관심과 각성을 촉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는 중국이 역사적 황무지인 동북 3성에 대한 지배권과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거사 개발작업이라 할 수 있다.
장래에 있을 지도 모르는 소수민족의 이탈을 막기 위해 중국의 테두리를 공고히 하려는 정치적 시나리오인 것이다.
중국은 55개 소수민족의 동향에 늘 불안감을 가져왔다.<
소수민족의 인구 구성비는 8%에 불과하지만 국토 면적은 60%에 이르러 소수민족 이반은 곧 중국의 와해를 의미한다.
중국이 티베트족들의 독립을 막기 위해 혈안이 된 것도 여타 소수민족들에게 미칠 영향을 우려한 때문이다.
그들이 고구려사의 자국사 편입을 위한 동북공정(東北工程)에 3조원이라는 거금을 들이는 것도 이런 배경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중국이 자국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타국의 역사까지 비틀고 있다는 사실이다.
고구려사가 중국의 역사로 공인되면 상고의 고조선사, 중세의 고려사 그 뒤를 이은 조선사까지 중국 역사의 일부가 돼야 하는 왜곡이 생긴다.
대한민국의 국호 Korea가 고구려, 고려에서 비롯됐다는 것을 그들도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중국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역사를 꿰어 맞추는 소아적, 반문명적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들 스스로 '땅의 한 가운데'라는 자존심을 내세우면서 선린관계의 이웃 국가를 이렇게 모욕할 수는 없다.
그것은 중국을 왜소하게 만드는 일이다.
우리 정부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 다각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동북공정의 중단을 논리로써 설득하고, 북한과의 협력을 통해 내년 6월로 예정된 중국의 고구려 문화유산 유네스코 일방 등록을 저지시켜야 한다.
또 고구려사 대응 연구를 체계화, 내실화하여 동북 3성의 역사를 되찾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