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현장의 노동력 고령화 경향은 청년실업과도 관계가 있다.
기업들이 신규인력 채용을 기피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노동력의 고령화는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비용절감 등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이같은 신규인력 채용 외면은 숙련공 양성이 뒤처지는 부작용도 있다.
노동부가 조사한 근로자 평균연령 추이를 보면 전국의 상시근로자 10명 이상 업체 경우 근로자 평균연령이 36.7세다.
지난 1980년도(28.8세)와 비교하면 8세나 높아진 것이다.
평균 근속연수도 3년에서 6년으로 배가 늘었다.
이런 현상이 평생고용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다.
노동력의 고령화는 우선 기업 부담가중과 함께 30대 미만의 젊은층 일자리 감소라는 양면이 존재한다.
전체근로자수가 20%(90년도 기준) 가까이 늘어났으나 젊은 연령층인 30대 미만 일자리는 무려 46만여개가 줄어 들어 청년실업률이 7%에 육박하는 우리사회의 고민의 한 요인이다.
고령화지수도 지난 90년 6.7%에서 지난해는 21.2%로 3배이상 늘어나 고령화 가속도를 보여준다.
노동인구의 고령화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30대 근로자 증가율이 40, 50, 60대에 크게 밑도는 현상은 그냥 둘일이 아니다.
효율적인 인력양성의 구도를 짜야 노동의 역동성이 그런대로 유지된다.
현재 우리의 노동인력 채용은 경력위주로 돼있다.
따라서 신규채용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대기업서 신입 근로자들에 대한 훈련기능을 담당한다면 노동생산성 제고와 경쟁력 강화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노동연구원 등서는 노동력의 고령화에 따른 부작용을 해결하는 방책으로 임금피크제를 권한다.
임금피크제 유형 중 정년은 보장하되 정년이 오기전 일정 연령이 되면 임금은 줄이는 방식이 적합한 모델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가장 시급하게 추구해야 할 일은 청년실업 대책이다.
노동력 고령화 지연과도 맞물린 청년들의 일자리 마련은 국가 활력 회복과 유지의 관건이 아닌가.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이틀 연속 '소신 정치' 선언에…여당 중진들 '무모한 관종정치'
국가 위기에도 정쟁 골몰하는 野 대표, 한술 더뜨는 與 대표
비수도권 강타한 대출 규제…서울·수도권 집값 오를 동안 비수도권은 하락
[매일칼럼] 한동훈 방식은 필패한다
[조두진의 인사이드 정치] 열 일 하는 한동훈 대표에게 큰 상(賞)을 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