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언론을 통해 보도된 3년 동안 거의 매일 뇌물을 받아왔다는 전직 울산시 건설본부 6급 공무원의 진술은 너무도 충격적이다.
챙긴 돈이 월 평균 2천여 만원에 달하며 "받은 뇌물이 너무 많아 무슨 일로 누구에게서 받았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는 발언에는 말조차 잇기 어렵다.
그동안 행해졌던 부정부패 척결이니 정의사회 건설을 위한 다짐과 구호가 너무도 허망하게 느껴진다.
자체 감사를 포함해 매년 수차례에 걸쳐 진행되는 감사는 무용지물에 불과했다.
부패의 만연은 울산만의 일이 아니다.
부산에서는 오락실 업주들로부터 뇌물을 받은 검찰직원들에게 영장이 청구됐으며, 남양주시의 공무원이 야외주차장에서 보석을 받다가 적발됐다.
공직부패가 전국적으로 여전히 자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들이 아닐 수 없다.
더욱 가관인 것은 현금 50억원을 실은 승용차가 운행될 수 있는가의 여부를 가리는 현장검증이 서울지법에 의해 행해진 것이다.
굴지의 국내 기업가들이 검찰에 불려가 불법 정치자금에 대한 조사를 받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런 촌극이 또다시 재연되는 것이 아닌가 걱정이 앞선다.
부패는 부와 자원의 왜곡은 물론 사회구조와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시킨다.
선진국들이 부패 척결을 위해 끊임없이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있는 것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지난해 우리나라에도 부패방지위원회가 발족돼 활동을 하고 있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부패방지위원회에 조사권을 부여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하며, 부패에 대한 사전 예방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공직자 윤리규범에 대한 총체적 점검도 필요하다고 본다.
김승기(대구시 동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