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국회 본회의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KIST)법안과 교통시설특별회계법 개정법안이 통과된 사실은 발전이 정체상태에 빠진 대구.경북으로서는 의미깊은 일이 아닐 수 없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이 제정됨에 따라 대구에는 5년간 8천500억원이 투입되는 동남권 R&DB(연구개발 및 산업화)허브가 들어서게 돼, 현재 총사업비 2조원 규모로 추진중인 테크노폴리스와 함께 대구.경북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구축할 수 있게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과 테크노폴리스는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대덕연구단지와는 달리 지역산업 육성과 직결되는 산업클러스터이기때문에 시.도민들의 기대를 한층 모은다.
또 이날 통과된 교통시설특별회계법 개정 법안은 기존 교통시설 특별회계법에 없던 도시철도(지하철) 계정을 신설, 교통세의 11.2~11.3%를 지하철 건설에 투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국가지원 지하철예산이 연간 5천520억원서 1조1천200억원으로 2배 가까이 늘어나 대구지하철 운용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도시철도계정 신설과 함께 건설교통부와 지역 정치권이 합의한 대구지하철 부채 40% 탕감안이 제대로 실현될 경우 현재 1조3천억원에 가까운 지하철 부채 중 절반 이상이 탕감돼 대구시 재정도 숨돌릴 여유가 생기게 됐다.
우리는 이번 두가지 성과가 지역정치권과 대구시가 이뤄낸 것임을 모르는 바 아니며, 지역 정치권이 "모처럼 대구.경북 시.도민들에게 얼굴을 들 수 있게 됐다"고 자축한 것을 나무랄 생각은 추호도 없으나 몇가지 당부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경우 '밀라노프로젝트'의 전철을 밟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밀라노 프로젝트는 당초 지역성장 핵심동력으로 여겨 그동안 6천억원을 쏟아부었으나 가시적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포스트 밀라노프로젝트'를 거론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지하철 부채도 탕감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하나 확실한 담보는 보장 못하는 상황이다.
이런 점에서 대구시와 경북도, 지역정치권의 더욱 많은 분발이 기대된다.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이틀 연속 '소신 정치' 선언에…여당 중진들 '무모한 관종정치'
국가 위기에도 정쟁 골몰하는 野 대표, 한술 더뜨는 與 대표
비수도권 강타한 대출 규제…서울·수도권 집값 오를 동안 비수도권은 하락
[매일칼럼] 한동훈 방식은 필패한다
[조두진의 인사이드 정치] 열 일 하는 한동훈 대표에게 큰 상(賞)을 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