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인터넷엔 '얼짱'이 뜨고, 성형외과와 화장품시장에는 얼굴을 바꾸려는 사람들로 넘쳐나고…. 아마도 신체기관 중 가장 많이 신경쓰는 곳이 얼굴일 듯하다.
얼굴은 육체의 중심이자 인격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얼굴은 왜, 어떻게 생겨났을까? 인간은 왜 구멍만 뻥 뚫린 거북 코가 아니라 잘 생기고 불쑥 솟은 코뼈를 갖게 됐을까? 눈, 코, 입은 왜 얼굴에 모여 살고 있을까? 웃고 울고 노려보고 미소지으며, 또 때로 화장하거나 변장하거나 의도를 숨기는 표정을 짓기도 하며, 사랑과 존경과 자애의 눈빛까지 담아내는 인간 얼굴의 놀라운 마술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이 책의 저자는 인간의 얼굴이 생존 경쟁의 산물이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인간은 큰 뇌를 담기 위해 이마가 높아지고 돌출된 입이 들어가며 얼굴은 밋밋해졌다.
인간의 코가 솟은 이유는 차갑고 메마른 공기가 허파에 도달하기 전 축축하고 따뜻해질 수 있는 비강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또 맛, 냄새, 모양으로 성찬과 쓰레기를 구분하기 위해 눈, 코, 입이 얼굴에 모였고, 털없는 얼굴이 표정 어휘를 확산시켜 인간을 고도로 사회화된 동물로 만들면서 이로 인해 얼굴을 인간관계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표현도구로 쓰였다".
이 책은 과도한 관심과 미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얼굴을 주제로 한 과학적이고 문화적인 보고서다.
저자는 생물학에서 문화 인류학, 미술, 문학까지 수만 개의 정보 조각을 하나씩 짜 맞추며 거대한 얼굴 모자이크를 완성해 나가는 등 과학이 밝혀낸 '얼굴의 모든 것'을 담고 있다.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