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地方大, 경쟁력 키워야

입력 2003-11-17 13:46:2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올해 대학 입시 전형을 앞두고 지방대들이 생존의 위기와 마주치고 있어 대학 차원의 자구책은 물론 정부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학 입시 응시생이 사상 처음으로 대학 정원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고사 직전의 지방대들은 그 사정이 상대적으로 훨씬 심각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올해 대학 수능시험 수험생은 지난해보다도 1만6천여명이 줄어든 63만9천여명이며, 전문대를 포함한 대학 정원은 62만7천여명이다.

수치상 경쟁률은 1.02대 1이나 미응시생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1대 1에도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방대의 경우 0.8~1.3대 1, 전문대를 포함하면 0.4~0.8대 1로 전망되나, 전문대만 대상으로 한다면 그 사정은 심각하다.

4년제 지방대들마저 정원의 절반도 못 채우는 사태가 빚어질 건 뻔한 일이며, 이 추세로 가면 곧 문 닫는 경우가 속출할 것이다.

지방대들을 살리기 위해서는 이제 극약 처방이 불가피하다.

정부의 지방대 지원책이 미미하고, 실효성도 마찬가지여서 지방대들의 대학간 통폐합과 특화를 통한 경쟁력 키우기, 정원 축소 등 고강도 구조조정밖에는 뚜렷한 길이 안 보이는 게 현실이다.

더구나 출산율 감소 등으로 고교 졸업생이 2005년까지 계속 하향곡선을 그리는 데다 수도권 대학 집중화 현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는 형편이다.

지방이나 지방대의 발전 없이는 서울과 수도권 역시 발전하기 어렵다.

더구나 지방대의 위기는 국가적 위기를 부를 수도 있다.

수도권 집중현상은 고비용 저효율을 초래, 궁극적으로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수도권과 지방의 심화되는 격차는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켜 온 것도 사실이다.

이렇게 본다면 지방대에 대해 경쟁에 방치하면서 구조조정만 요구하는 건 무리다.

국민 화합과 국토의 균형적 발전,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지방대를 살려야 한다.

더 늦기 전에 지방대와 지방대생들이 지방에 뿌리를 내리고 꿈과 희망 속에 젊음의 이상을 펼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해야만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