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14일 신한BNP파리바투신운용의 사모펀드를 통해 현대엘리베이터
의 지분 12.82%를 보유한 정상영 금강고려화학(KCC) 명예회장이 지분 변동 보고
의무를 위반한 혐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제재 여부에 대한 검토 작업에 착수
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또 정 명예회장이 사모펀드를 통해 보유한 지분에 대해 논란의 소지가
있지만 금융감독위원회가 처분 명령권을 행사할 수도 있고 이 지분에 대한 의결권
제한은 당사자간의 소송에 의해 법원이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의결권 제한 대상 지분은 KCC 등이 한국프랜지와 함께 현대엘리베이터의 지분 2
3.7%를 이미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어 12.82%에서 5%를 뺀 7.82%가 아니라 12.82%
전체가 될 것이라고 금감원은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 명예회장이 증권거래법의 5%룰(지분율이 5%를 넘을 경우 5
거래일 이내에 공시하도록 한 규정)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지분 변동 보고 의무를
위반한 혐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경영권 분쟁의 소지가 있고 기존 대주주의 보유 지분을 초과
해서 지분을 보유할 경우 금감위가 초과 지분에 대한 처분 명령권을 행사할 수 있지
만 지분의 소유자인 펀드와 보유자인 정 명예회장 등 처분 주체에 대한 법률적 논란
이 있어 신중한 법률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관계자는 또 "의결권 제한 여부는 현대엘리베이터와 정 명예회장 등 당사자간의
소송을 통해 법원이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와 함께 정 명예회장과 KCC 등이 한국프랜지를 통해 3개의 뮤추얼펀
드로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7.81%를 보유했다는 공시는 지분 변동 날짜가 펀드의 잔
고 일자로 돼 있어 결제 일자로 수정해 보고하도록 요청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수정 보고가 들어오면 지분 변동 보고 의무 위반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한국프랜지는 이미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23.7%를 갖고 있어 지분 변동 보고 의
무를 위반했을 경우 추가로 보유한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7.81%도 의결권 제한과 처
분 명령 등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KCC "현대그룹 경영권 확보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