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토지공개념 도입 논란

입력 2003-10-13 17:21:23

정치권은 13일 노무현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부동산 가격 안정대책으로

"강력한 토지공개념 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나타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위헌소지까지 있는 토지공개념 제도는 근본적인 부동산

투기 근절책으로 볼 수 없다"며 다소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낸 반면, 통합신당은 "당

차원에서 이미 검토하고 있던 제도"라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한나라당 김성식 제2정책조정위원장은 "600조원이나 되는 시중 부동자금이 의

미있는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한 부동산 투기의 가능성은 상존한다"면서 "미래 전

략산업 개발 등 정부의 투자 촉진정책이 선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구체적인 세부안이 나와봐야 알 수 있겠지만 과거 노태우 정부가 이

와 관련해 내놓은 '토지초과이득세' 신설 등이 위헌 소지 등 여러 이유로 실효성이

없었다"면서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는 과표 현실화및 단일화 정책이 선행해야 한다"

고 덧붙였다.

민주당 김효석 제2정책조정위원장은 "집값 문제가 심각한 만큼 대통령이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는 점은 평가하지만 80년대 후반에 도입됐다가 이미 폐지된 반시장적

인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토지공개념이 아니더라도 부동산 과다보유자에 대한 누진세를 도

입하고 보유세를 형평에 맞게 올리면 충분히 거품이 줄어들 수 있고, 대입에서 내신

을 대폭 강화하는 등의 교육정책으로 강남 집값을 잡을 수 있다"며 "수백조원에 달

하는 부동산 자금을 증시와 채권쪽으로 유인하는 정부의 정책제시가 더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통합신당 정세균 정책위의장은 "당에서도 다른 투기근절대책과 함께 토지

공개념을 검토하고 있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신당 정책위 관계자는 "김근태 원내대표도 오는 16일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토

지공개념에 준하는 '주택공개념'과 국민임대주택특별법 제정 등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