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국사회에서 벌어지는 일은 '지위 반란'(Status Revolt)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능력 유무를 떠나서 나타나는 '서열 파괴'를 말한다".
보수 논객으로 유명한 원로 사회학자인 송복(66) 연세대 명예교수는 17일 오후
연세대 새천년기념관에서 열린 '명예교수의 날' 행사에서 동료 명예교수와 후배 교
수 등을 상대로 '지위 반란'이라는 제목으로 특강을 하면서 현 한국사회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송 교수는 "요즘 우리 나라에서는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또는 지위가 높
다는 이유로 무조건 떠날 것을 요구하는 풍조가 일고 있다. 경륜이나 능력을 무시한
채 높은 지위에 앉아보지 못한 사람과 미숙한 젊은 사람들을 위해 고위직을 내쫓는
것"이라며 "이렇게 해서 높은 자리에 올라간 사람은 경험이나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
에 단지 '이념형 인간'이 되고 만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 사회는 현재 단순한 '새 사람'(new man)과 참신성과 능력을 갖춘
'신선한 사람'(fresh man)을 구별하지 못한 채 단지 뉴 맨이라고 하면 프레시 맨이
라고 생각하고 자리에 앉힌다"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또 "김대중 정부 때는 '지위 교란'(Status Disorder) 현상이 팽배했
다. 이 때는 나이의 적고 많음을 떠나 얼마나 충성했나, 고생했나에 따라 지위를 결
정했다. 개혁과 민주화라는 이름으로 지위를 교란시켰던 것이다"라고 말했다.
송 교수는 이 처럼 '지위 반란' 현상이 나타난 원인으로 사회적 이유와 정치적
이유를 꼽았다.
그는 "사회적으론 신분상승에 대한 기대가 무너지면서 이 같은 '지위 반란'이
그 탈출구로 사람들에게 호응을 받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송 교수에 따르면 통계청 조사 결과 88년엔 '다음 세대에서 내 신분이 상승이동
할 것'으로 기대한 사람이 75%, '내 세대에서 신분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 사람이
68%였는데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를 거치고 난 99년엔 각각 28%, 30%로
떨어졌다는 것.
송 교수는 "상승 이동의 기회가 무너진 상태에서 나이 많은 사람을 쫓아내야 내
기회가 생긴다는 기대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송 교수는 또 정치적 원인으로 포퓰리즘(대중 영합주의)을 꼽았다. 포퓰리즘이
팽배하면서 대중 지향적, 감성적, 인치 지향적으로 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코드만 찾는 인치지향 때문에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도 문제가 있었는데
도 계속 기용하는 것이며, 경제논리가 아닌 정치논리로 모든 걸 해결하려 하고 있다.
또 두산중공업이나 현대자동차, 조흥은행, 화물연대 사태 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법과 원칙보다는 '떼를 쓰면 된다'는 사고가 팽배하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