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왔다가 오늘 가는
하루살이의 생명도, 위대하게 왔으리.
길바닥에 떨어져 뒹구는 나무 이파리도
신비롭게 왔다가 가느니
내 작은 한 톨의 쌀로 몸 받아 올 때
하늘과 땅이 있어야 했고
해와 달 비, 바람이 있어야 했다
농부의 얼굴을 뙤약볕에 그을리게 했고
애간장 녹이게 했고
손마디 굵어지도록 땀 흘리게 했다.
허홍구 '사람의 밥이 되어'부분
허홍구 시인은 식당업을 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한국 요식업협회에서 일하고 있다.
우리가 늘 대하면서도 그 존재가치를 잘 모르고 있는 물과 공기 등과 같이 음식에 대해서도 그 고마움을 못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배고픔을 절실히 느낀 사람들은 예외이지만 요즈음의 젊은이들은 음식에 대해 그 기능성 이상의 것은 생각하려고 하지 않는 것 같아 안타깝다 비유와 표현들이 좀 투박하지만 사물에 대한 애정이 느껴지는 시이다.
서정윤(시인·영신고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