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제조업업황BSI가 2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최악의 수준을 헤매고 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본부장 김주훈)가 지난 달 지역 318개 업체를 대상으로 기업경기를 조사한 결과 6월 제조업업황BSI는 67로 지난 2001년 3분기(62) 이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지난 달(72)에 비해서도 큰 폭 하락한 것으로 지역기업의 체감경기 부진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반영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와 1차금속의 하락폭이 큰 가운데 전자.영상.음향.통신 및 자동차.트레일러도 소폭 하락했다. 또 수출기업(64→56)의 체감경기가 내수기업(76→72)에 비해 더욱 부진했다. 매출증가율BSI(78→70) 생산증가율BSI(88→81) 신규수주증가율BSI(77→70) 자금사정BSI(77→74) 모두 하락했다.
비제조업의 6월 업황BSI도 59로 전월(69)에 비해 큰 폭 하락, 비제조업 역시 체감경기가 매우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증가율BSI(68→60)이 크게 떨어졌으며 채산성BSI(75→76) 자금사정BSI(81→81)는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7월 제조업.비제조업 업황전망BSI도 전월보다 큰 폭 하락해 경기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제조업업황전망BSI(81→70)는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으며 업종별로는 자동차.트레일러 및 기계장비가 크게 하락한 반면 전자.영상.음향.통신은 상승했다. 수출기업(77→71)과 내수기업(84→70) 모두 전월에 비해 업황전망BSI가 크게 떨어졌으며, 매출증가율전망BSI(83→68), 채산성전망BSI(78→73)도 각각 하락했다. 비제조업업황전망BSI도 59로 전월(61)에 비해 떨어졌다.
기업경영 애로사항으로는 불확실한 경제상황(21.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내수부진(19.2%) 인력난.인건비 상승(11.6%) 수출부진(9.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5월에 비해 자금부족(8.3%→5.3%) 원자재가격 상승(10.6%→7.9%)의 응답비중은 낮아진 반면 불확실한 경제상황(17.6%→21.7%) 노사분규(1.0%→2.5%)의 응답비중은 높아졌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