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과 지역혁신, 국가균형발전, 지방대학발전…. 참여정부가 들어서면서 이와 관련, 민·관·학 협력기구의 구성과 시민들의 토론회, 특별법 입법요구 등의 뉴스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대통령선거 전만해도 지역인재할당제 등 지방을 살리기 위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시행을 촉구하는 주장을 펴면 무슨 소리를 하느냐며 탐탁지 않게 생각한 사람들도 많았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이 사업들이 국정과제로 제시되면서 역대 어느 정부보다 지방에 대한 관심이 높고 추진의지도 강하다.
매우 바람직하고 시의적절한 선택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앞으로의 문제는 이와 관련된 정책을 추진해 지방을 어떻게 탈바꿈시킬 것인가 하는 점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달 12일 첫 국정과제 회의를 대구에서 열고 '국가균형발전정책 3대 원칙과 7대 과제'를 발표한 것은 지방 분권과 지방화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어가겠다는 현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밝힌 것으로 평가된다.
이제 공은 지방민과 지방자치단체로 넘어왔다.
지자체와 대학, 지역주민, 지역기업들이 스스로의 역량을 키워 나가야 할 차례다.
지역발전의 주체는 우리 모두임을 인식하고 자기반성과 동시에 지역발전의 계기를 찾아야 할 시점이다.
참여정부가 내세우는 지방분권시대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역발전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떨어지는 과실(果實)을 얼마나 주어담을 것인지는 지역발전 주체들의 역량에 달렸다 하겠다.
지방분권이 확산될수록 중앙집권 때보다 지방은 더 치열한 '정글의 법칙'이 적용된다는 점을 우리 모두 인식해야 한다.
대학 총장의 입장에서 지방분권의 중요성이 강조되면 될수록 지역과 대학간 연계의 중요성을 새삼 느끼게 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우리 대학이 위치한 곳이 국내 최대의 전자산업도시이면서도 지금까지는 지역의 중요성을 그렇게 심각하게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방분권과 지역혁신이 강조되면서 지자체와 대학, 지역기업, 지역언론과의 연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주체끼리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지방대학에 몸담은 사람으로서 그동안 본교가 구미에 있다는 점에 다소 아쉬움을 갖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서울 등 대도시 중심의 유명대학들과 비교할때 열등감마저 들때도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일률적 등식에 대한 핸디캡을 과감히 떨쳐버리기로 했다.
구미라는, 무한한 발전가능성이 있는 도시를 믿기 때문이다.
지방분권시대엔 그 도시의 경쟁력이 그 대학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요즘은 모든 지방대학들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차별화된 대학을 만들기 위해 애쓰고 있다.
우리 대학도 일찍이 지역적 이점을 살리기 위해 '멀티미디어 교육의 중심대학'으로 특성화시켜 나가고 있다.
IT나 멀티미디어 관련 전공분야의 특화로 구미지역 기업체들과의 연계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5월엔 경북도와 구미시 등과 연계해 행정자치부로부터 모바일산업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주체로 선정돼 사업비 25억여원 지원이 확정됐다.
또 지난해에는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생산기지조성사업 1차연도 분으로 국비 9억여원의 예산을 지원 받았다.
우리 대학은 다가올 지방화시대에 대비, 지자체와 지역기업간의 공동발전방향을 끊임없이 모색해 오고 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선 대학의 발전을 위해 주민들이 발벗고 나서는 것을 보고 있다.
지방분권시대를 맞아 지방대학의 발전이 대학구성원은 물론, 대학이 위치한 지자체와 지역기업, 지역주민들로부터 나온다는 사실을 새삼 실감하고 있다.
김향자(경운대 총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