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특검제 도입 굳혀

입력 2003-06-30 11:20:32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한나라당은 30일 "대북 뒷거래, 박지원 150억대 비자금, 김영완 떼강도 사건 등은 모두 한 뿌리에서 시작된 김대중.민주당 정권의 최악의 권력비리 사건"이라며 특검제 도입 방침을 분명히 했다.

특히 '김영완 떼강도 사건'에 주목하며 "일개 사업가 집에서 100억원 이상의 천문학적 거액이 강탈당했다는 것부터 추리소설 같은 얘기인데다 경찰의 수사과정을 보면 하나부터 열까지 어느 것하나 수상하지 않은 게 없다"고 탄식했다.

박종희 대변인은 "김씨의 지난 2000년 3, 4월 출입국 기록이 박지원씨, 정몽헌씨 등과 상당부분 일치하는 데다 이들 3인이 그해 6월 정상회담을 전후해서 자주 만난 사실도 밝혀졌다"고 비난했다.

따라서 '150억원+α 설'도 대북뒷거래 사건에서 파생된 곁가지 사건임이 확연해졌다는 것이다.

박 대변인은 "김씨는 특검도입 직전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도피했고 김씨에게 돈세탁을 해준 사채업자 임모씨도 뒤이어 해외로 도망쳤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또 떼강도 사건에 대한 경찰의 수사과정에 대해서도 의혹을 제기했다.

거액을 강탈당한 김씨가 △경찰들과 범인이 함께 묵었던 호텔의 숙박비와 식대를 지불한 것이나 △피의자인 자신의 운전사에게 비밀리에 변호사를 선임해 준 경우 △피해액수가 100억원이라는 김씨 주장과 180억원이라는 범인의 주장이 다른 것을 이유로 들었다.

배용수 부대변인은 "수사관들이 범인들과 호텔에서 술파티를 벌이고 현금은 없어도 좋으니 채권만이라도 돌려달라며 애걸복걸한 것은 무슨 연유인가"라며 "어떻게 경찰이 범인과 같이 놀아나며 범인을 비호하고 사건을 은폐하려 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문석호 대변인은 "150억원 수수의혹이나 현대상선의 산은대출금 내부 사용처에 대한 것은 대북송금사건의 본질적 핵심적 사안이 아니다"며 "정치적 법률적으로 전혀 다른 부수적 사안이므로 특검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비판하고 "검찰수사를 통해 밝히되 미진하다면 그때 가서 다른 방법을 강구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평수 부대변인도 "한나라당이 현대비자금 150억+α 를 특검의 수사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며 '새특검법'을 제출하고 국회에서 처리하겠다고 협박하고 나선 것은 국회본연의 임무는 내팽개치고 1년 내내 특검만 하자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