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착공식을 보는 국민의 마음은 한마디로 착잡하다.
남북 경협(經協)의 역사적인 물꼬를 트는 '첫삽'이라는 기대감과 설렘의 한 편에는 그것이 또 하나의 선언적(宣言的) 행사로 전락하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행사가 비교적 차분히 진행되는 것도 남북 관계가 갖고 있는 지정학적·이념적 '틀'에 얽매여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우리는 경험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계화' 논리가 무르익고 있는 이 시점에서 '경제적 이익'이 무시된다는 것은 한반도로서는 엄청난 비효율이다.
민족 전체의 퇴보로 이어질 것이 뻔하다.
개성공단 착공이 갖고 있는 상징적 의미보다 그것이 열매 맺기위해 남북 양측이 지금부터 노력을 기울여야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30일 거행된 개성공단 착공식은 합의 이후 실현되는데 3년이 걸렸다.
개성직할시 일대 800만평과 배후도시 1천200만평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2007년까지 100만평을 우선 조성, 섬유·의류·전기·전자 등 300여개 업체를 입주시킬 계획이다.
문화적 차이가 거의 없는 단일민족인만큼 남측의 기술력과 북측의 노동력이 결합되면 폭발적인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곳이다.
특히 참여정부가 추진하는 '동북아 물류중심'은 남측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사업이 아닌가.
그런데도 내막을 보면 넘어야 할 산이 너무나 많다.
마음 놓고 투자 할 수 있는 규정이 마련되지 않았으며 4개 경협 합의서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야 하는데 핵문제와 북한 송금으로 얼룩진 분위기여서 장담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가뜩이나 북한은 지난해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물가와 임금 이 폭발적으로 인상, 체제 자체가 위협받고 있어 남측의 자본주의와 어떻게 결합할지도 의문이다.
경제협력은 당연히 안보의 바탕위에서 출발해야한다.
하지만 모처럼 가시적인 경협이 '그림의 떡'이 돼서는 안된다.
따라서 남북한은 이제 상호 신뢰를 금과옥조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것이 경제협력의 지름길이요, 상생의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