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이 국방부의 봉입니까?". "영천 발전을 막는 지역 주둔 모든 군부대 철수를 시민들이 요구해야 합니다".
최근 국방부가 영천시 완산동의 옛 공병대 부지 5만3천659평을 수의계약으로 민간업체에 312억원에 팔아넘기자 시민들은 자기들의 이익 챙기기에만 급급했던 국방부의 행동에 강한 불만과 섭섭함을 표출하고 있다.
재래시장을 비롯 주변에 상가가 밀집한 상업적 요지인 완산동 공병대 부지는 그동안 수차례 이전 요구에도 불구, 군이 계속 주둔해 개발이 이뤄지지 않았다.
마침내 지난 2000년 4월 공병대가 이전하자 시민들은 공병대부지가 50년전 한국전쟁 와중에 군이 빼앗다시피 징발한 부지임을 들어 당시 지주들에게 되팔거나 영천시에 매각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영천에 3사관학교. 탄약창. 예비군교육대. 공병단. 항공단 등 각급 군부대가 주둔, 900여만평이 군사시설 및 군사보호구역으로 묶여 개발에 발목이 잡힌데 대한 보상차원에서 부지를 영천에 되돌려 줄 것으로 희망했다.
그러나 국방부의 엄청난 땅값 요구로 수십명 지주들은 아무도 이 땅을 되찾을 수가 없었다.
지난 3월 공병대 부지 최종 매각입찰이 유찰되자 국방부는 땅값을 감정가인 389억원보다 낮은 312억원으로 낮췄고 영천시가 부지 매입에 나섰다.
시는 공병대 부지를 공영개발해 한방바이오단지.상가 및 주택지구.공원 등을 조성해 상권을 활성화시킬 계획이었다.
박진규 시장이 수차례 군을 방문했고, 육군참모총장에게 공문을 보내 "공병대 부지를 공영개발하고, 부지대금은 5년 분할상환하겠다"며 회신을 요청했으나 군은 회신조차 없었다.
지난달 15일 박헌기 국회의원도 국방부에 대해 영천시에 공병대 부지 매각을 요청했다.
그러나 국방부는 이로부터 불과 6일 후 박의원과 영천시도 모르는 사이 재빨리 부지를 매각하는 상혼을 발휘했다
졸지에 국방부로부터 뒤통수를 맞은 영천시는 "공병대 부지 난개발만큼은 철저히 막겠다"고 벼르고 있다.
서종일기자 jiseo@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