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출범과 함께 추진되던 농협 개혁과 구조개선 작업이 대상 지역조합들의 반발로 표류하고 있어 농민들에게 실익을 줄 수 있는 경쟁력 강화는 고사하고 농산물 개방 등 대내외적 농업여건 변화에도 역행하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농협중앙회가 지난 4월부터 추진해온 전국 398개 일선 지역농협 합병계획이 해당 조합의 집단반발로 백지화된 데다 지역 농협장들이 중앙회에 대응하는 협의회를 결성하고, 노조원들은 시·군지부 폐지를 주장하는 등 농협개혁이 중앙회와 지역 조합과의 대결양상을 보이고 있어 농민 피해만 가중될 전망이다.
대구경북의 28개 지역농협 조합장들은 지난 26일 안동 신라예식장에서 대구·경북지역 농협장협의회 창립총회를 갖고 임원선출과 함께 중앙회장 불신임과 불합리한 농협조직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같은 날 오전 상주에서도 120여명의 조합원들이 농협중앙회 개혁요구 결의대회를 가졌고 지난 주말에는 전국농협노조 대구경북본부 회원 1천여명이 같은 취지로 대구 국채보상기념공원에서 대회를 가졌다.
심재호 전국농협노조 대구경북본부장(청송농협)은 "개혁의 대상인 중앙회가 오히려 개혁의 칼자루를 잡고 생색내기 차원에서 지역 조합 통폐합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난했다.
이에 앞서 지난 12일 경북도내의 43개 합병대상 조합장들은 경북지역본부에 모여 '합병권고 통지서'를 일괄 반납하고, '농협강제합병반대추진위원회'를 결성하는 등 집단 반발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대해 농협 경북지역본부와 시·군지부 관계자들은 "농협조직 계통을 벗어난 개혁 논의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또 영천 ㅊ농협 등 상당수 조합은 "부실조합 합병 등 농협 구조개선은 미룰 수 없는 시대적 대세"라며 "합병반대가 모든 대상조합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전농 경북도연맹 채경희(44) 전 농협개혁위원장(경산 와촌농협 이사)은 "영세조합의 합병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경제실적이나 조합이익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겉보기 합병은 안된다"며 "농민과 조합원들의 활발한 참여 속에 농협이 거듭나는 실질적인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향래·정경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