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로 대구지하철 참사 발생 100일을 맞았으나 묘지공원 조성 등 문제로 장례조차 완료되지 못하는 등 수습의 실마리가 풀리지 않고 있는 가운데, 새 묘원 부지로 거론된 지구의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는가 하면 조성비 문제까지 제기되는 등 새로운 국면이 조성되고 있다.
대구 수성구 삼덕1·2동 주민 100여명은 월드컵경기장 일대의 대구대공원 안에 묘지공원을 만드는 데 반대하는 모임을 결성하고 10여명은 27일 대구시를 항의 방문했다.
주민 대표 정원식씨는 "그린벨트 거주 주민들의 조상 묘까지 외지로 이장시키면서 새로운 공동묘지를 대구대공원 안에 만든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추모공원 조성에 결사 반대한다"고 밝혔다.
수성구의회도 28일 긴급 의원 간담회를 갖고 추모공원 조성 반대 결의문을 채택, 대구시에 전달할 예정이다.
구의회 한해동 의장은 "대구 시민의 자랑거리인 월드컵 경기장 주변에 묘지를 만드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유족들이 지목한 부지 중 일부에는 사유지도 포함돼 있어 재산권 침해 논란을 불러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조해녕 대구시장은 27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법적 문제나 인근 주민 반대가 없어야 추모 묘지공원 조성을 추진할 수 있다"고 밝히고, 나아가 "시민 부담으로 묘지를 조성하는 것을 시민들이 용납하겠느냐"며 시비 투입에도 부정적인 견해를 내보였다.
조 시장의 이 발언은 추모사업추진위의 26일자 결정과 정면 배치되는 것으로, 추진위는 대구대공원 내 시립미술관 예정지 인근에 추모묘원을 조성해 달라는 유족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이를 대구시가 검토토록 6대 4로 가결했었다.
그 표결 뒤 대구시는 공원지역 묘원 조성은 대구시와 유족간의 합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추진위의 표결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였었다.
김해용·최창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