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규제책...가격상승세 꺾여

입력 2003-05-26 15:54:51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정부의 재건축 규제책이 잇따라 나오면서 들떠 있던 대구지역 재건축시장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대구시가 최근 "사업 가능성을 판가름하는 안전진단의 문턱을 한층 높이라"고 산하 8개 구·군청에 지시한데다 재건축 규제를 강화하는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시행(7월)을 앞두고 있어 올 들어 최근까지 가격급등을 주도했던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안전진단에 대한 기대감이 줄어 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이고 있다.

여기에다 이달 들면서부터 더욱 심화되고 있는 지역의 경제불황 영향으로 전체 부동산 매기가 실종되면서 재건축시장의 분위기도 사뭇 달라진 느낌이다.

안전진단 통과를 전제로 한 재건축에 기대감으로 재건축 대상 대 단지 아파트의 경우 지난달까지는 부르는 게 값이었지만 수요자가 실종되면서 거래는 전면 중단되다시피 하고 있다.

정부의 저금리정책 기조 유지로 인해 재건축시장에 몰린 자금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아 재건축 아파트값이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긴 하지만 대구지역의 경우 경제기반이 극히 취약한데다 두터워진 하류층으로 인해 실제 수요자가 바닥났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바탕으로 할 때 실제 현재의 시세유지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재건축 사업승인을 앞두거나 안전진단을 신청한 단지들이 몰려 있는 대구 수성구 황금동 일대 부동산업소에는 이달 초까지만 해도 줄을 이었던 매수 문의가 뚝 끊겼다.

황금주공아파트 부근의 한 공인중개사는 "이달 초까지만 해도 높은 프리미엄(웃돈)에도 불구, 재건축 대상아파트를 찾는 사람들이 심심찮게 있었지만 지금은 시들해진 상태"라고 말했다.

재건축을 위한 정밀 안전진단이 진행중인 아파트가 모여있는 달서구의 송현·성당동 일대의 부동산업소에도 "지난주만 해도 지금 사도 늦지 않겠느냐는 문의가 잇따랐는데 현재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라고 말했다.

극도로 나빠진 지역경제에다 최근 일부 지역에서 재건축추진위가 제출한 안전진단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등 부정적 요인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가 도시계획관련 제도 변경안을 내놓으면서 안전진단 통과 기대감이 불안감으로 바뀌면서 재건축 아파트의 매수세가 주춤해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대구시내 재건축추진위들은 시청과 구청의 재건축행정 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안전진단을 빨리 받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당면 과제인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과 '국토법' 관련 신설조례가 시행되는 오는 7월 이전(6월말까지) 안전진단을 끝내고 조합설립과 사업자선정, 설계 등 절차를 거쳐 사업승인을 받아둬야 신법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달 말까지 사업승인을 받지 못하는 재건축아파트의 경우는 치솟던 가격이 떨어질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견이다.

대구 수성구 한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정밀안전진단중인 모 아파트(27평형)의 경우 현재는 1억7천만의 시세를 형성하고 있지만 다음달 말까지 안전진단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가격이 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대구시가 최근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관련 조례를 입법 예고한데다 24일 '일반주거지역의 종별세분화 및 용적률 차등 적용안'을 공고하면서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단지들은 맥이 빠진 분위기가 역력하다.

시행시기를 7월로 못박아두고 있긴 하지만 도시의 난개발을 막고 계획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를 '입법예고' 또는 '공람공고'를 했으니, 바로 적용하지 않겠느냐는 추측아래 안전진단 결과를 낙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건축을 추진중인 아파트 단지 주변의 부동산업소들은 매수자의 경우 일단 발을 빼고 좀더 지켜보는 추세로 당분간 관망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