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중동평화안 격론 끝 승인

입력 2003-05-26 11:50:4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스라엘 정부가 25일 미국과 유엔 등 국제사회가 마련한 중동평화 단계적 이행안인 '로드맵'을 승인함으로써 중동의 유혈분쟁이 해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날 승인으로 이스라엘 정부는 형식적이나마 팔레스타인 독립국 창설 권리를 사상 처음으로 인정했다.

아리엘 샤론 총리 내각은 6시간의 격론 끝에 표결에 부쳐 찬성 12, 반대 7, 기권 4표의 근소한 표차로 승인했다.

극우 민족종교당 등은 로드맵에 반대의사를 표명했으나 집권 연정의 핵심인 리쿠드당 각료 대부분이 로드맵을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샤론 총리는 내각 표결에 앞서 로드맵 원안에서 이스라엘측이 이의를 제시한 14개 조항은 "레드 라인(금지선)"이라고 천명하고 자신이 로드맵을 완전히 지지하지 않았다는 점을 연립정부내 강경파들에게 재확인시켰다.

그는 또 "정치적 상황과 경제적 상황은 분명한 연관이 있다"면서 32개월간의 유혈분쟁으로 피폐해진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로드맵의 지지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샤론 총리는 이스라엘이 이의를 제기한 사항을 충분히 고려할 것이라는 미국의 보장을 받고 지난 23일 로드맵 수용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지 이틀만인 이날 각의를 소집, 표결을 강행했다.

샤론 내각은 그러나 400만명에 달하는 팔레스타인 난민과 후손들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는 귀환권을 거부하는 별도 결의를 채택하고 로드맵 이행의 전제조건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이행 전망을 어둡게 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1948년 건국 후 이스라엘 땅을 떠난 팔레스타인 난민이 고향으로 돌아올 경우 이스라엘의 유대교적 정체성이 도전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들의 고향 귀환에 줄곧 받대해왔다.

그동안 고향귀환권을 중요하게 요구해온 팔레스타인측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팔레스타인 지도자 야세르 아라파트의 고위측근인 나빌 아부 루데이나는 "조건이 붙은 승인은 충분하지 않다"며 "그들은 우리가 그랬던 것처럼 로드맵을 조건없이 완전히 승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스라엘 내각의 결정으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샤론 총리, 압바스 총리가 참석하는 정상회담의 성사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한편 팔레스타인 최대 이슬람 저항운동단체인 하마스는 국제사회의 평화안이 하마스의 무장해제를 유도하려는 술책에 불과하다며 반대입장을 거듭 밝혔다.

하마스의 이날 성명은 이 단체 지도자들이 지난주 압바스 총리에게 이스라엘의 공격 중지를 전제로 하는 조건부 휴전 용의를 표명한 것과는 상반된 입장이다.

외신종합=박운석기자 stoneax@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