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 기어간다
지나는 새가 전해준
저 숲 너머 그리움을 향해
어디쯤 왔을까, 달팽이 기어간다
느린 열정
느린 사랑,
달팽이가 자기 몸 크기만한
방 하나 갖고 있는 건
평생을 가도, 멀고 먼 사랑에 당도하지 못하는
달팽이의 고독을 그가 잘 알기 때문
유하 '느린 달팽이의 사랑'중
조지훈 시인은 포옹을 사랑의 영원한 카타르시스라 했다.
이 끊임없는 카타르시스가 때로 상대의 그림자만 좇는 덧없는 몸짓일 경우가 많다.
함께 있어도 그렇고 떨어져 있으면 더욱 그렇다.
어느 쪽이든 그 정점에 이르기엔 우리 모두 평생 서투르고 느린 달팽이인 것이다.
이 점을 알기 위해서도 반드시 달팽이처럼 고독해야 한다.
그것을 이 시는 가르치고 있다.
권기호〈시인·경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