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大邱 테크노폴리스의 '덫'

입력 2003-05-07 12:00:39

대구의 미래산업이 또 '헛다리' 짚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구 테크노폴리스' 국가산업단지 조성계획이 벽에 부딪혔기 때문이다.

건설교통부는 6일 이해봉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국회자료에서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지정문제는 낙동강 수질 개선 대책의 수립.시행과 함께 검토돼야 한다"며 낙동강 상.하류 지역간에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돼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건교부의 입장이 관철된다면 대구경제의 궤도수정은 불가피하다.

대구 테크노폴리스가 어떤 사업인가. 2020년대 대구 장기발전계획 8개 프로젝트 중 '제1 과제'가 아닌가. 이미 물거품이 된 '위천공단'의 대안(代案)으로 탄생한 대구 테크노폴리스가 제대로 출범하기도 전에 시시비비에 휘말리고 있으니 난산(難産)이 될 것은 분명하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낙동강 상하류 지역간의 합의'는 곧 테크노폴리스 조성이 불투명함을 의미한다.

상류지역의 '지역경제 할성화'와 하류지역의 '식수원 확보'라는 환경적, 생존 차원의 문제는 영원한 평행선이다.

합의를 기대하는 것 자체가 그야말로 우문(愚問)이다.

대구 테크노폴리스는 달성군 일원 570만평 정도에 과학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유치 시설로는 위천리 일대 150만평 정도에 과학기술연구단지, 낙동강.대니산 일원 120만평 정도에 레저.위락단지, 250만평 정도에 친환경적인 신도시.낙동강 강변도로, 물류.비즈니스 단지 등이 골자다.

이미 대구시는 2억4천만원을 들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 테크노폴리스 건립용역을 의뢰했으며 내년 1월쯤 용역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개발계획이 수립되면 정부에 산업단지 지정을 신청할 계획까지 세워놓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이런 장기 플랜이 하루 아침에 물거품이 될 정도로 준비를 소홀히 한 대구시의 근시안적인 안목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대구 경제의 미래가 달린 중대한 사업이 이런 '전제 조건'에 걸려 방향을 달리해야 한다면 이는 분명 정책 입안자의 잘못이 크다.

지방분권은 제 목소리만 내는 것이 아니다.

지자체간의 네트워크가 무엇보다 선행돼야한다.

타 지역의 반대 여론을 탓하기 전에 이를 간파하지 못하고 일방적인 결정을 내린 대구시의 과오는 무엇으로 설명될 것인가.

위천공단처럼 10년 세월을 또 지역간 '입싸움' 소모전으로 지새운다면 경제활성화는커녕 대구지역민의 신음소리는 높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