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 가슴에는
두레박 줄을 아무리 풀어내려도
닿을 수 없는 미세한 슬픔이
시커먼 이무기처럼 묵어서 사는
밑바닥이 있다.
그 슬픔의 바닥에 들어간 적이 있다.
안 보이는 하늘이 후두둑 빗방울로 떨어지며
덫에 걸린 듯 퍼덕였다.
노향림 '깊은 우물' 중
깊이 묵은 슬픔을 특이한 뉘앙스로 빚고 있다.
이무기가 사는 밑바닥이 아니라 '이무기처럼 묵어서 사는 밑바닥'의 표현은 죽은 물질 바닥을 고생대 이래 살아온 슬픔의 유기체로 숨쉬게 한다.
구름이 비가 된 것이 아니라 '하늘이 빗방울 같은 것이 되어 늪에 걸려 퍼득인다'는 언어 구성도 마찬가지다.
숙명적 얽힘의 미묘한 깊이를 노향림식 스타일로 조립하고 있다.
권기호 (시인.경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