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정보전달 윤리성

입력 2003-04-30 12:00:23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한국 신문계의 숙제는 엘리트 신문의 창출이 아닌가 싶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권위지(權威紙)가 없다고 하면 돌아올 것은 돌팔매질일성 싶어도 그런 일은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게 안타까움이다.

적당한 발행부수이지만 논지(論旨)의 영향력은 전세계에서 알아주는 뉴욕타임스, 르몽드(프랑스), 아베세(에스파니아) 등과 같은 신문의 등장은 우리나라 정보산업의 발전과도 맥이 닿아 있다.

엘리트 신문으로 치는 요건이 적어도 100여개 국가에서 신문을 수입해가는 신뢰의 축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대중지(大衆紙)의 반대개념인 엘리트 신문의 무존재(無存在)는 우리나라 정보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 1%미달을 탈피못하는 한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한국신문 상황은 사회수준의 연계라는 강변(强辯)도 할 수 있지만 경영주들의 의식 고착이 가져온 결과다.

발행부수가 많아야 광고주가 붙기 때문에 유가(有價)부수는 얼마나 되건 절치부심, 많이 찍어내는데만 골몰하는 인상이 짙다.

광고수입이 신문사 매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는 곳은 아무래도 우리나라 정도일성 싶다.

신문의 신뢰구촉과는 담을 쌓은 듯한 신문시장 쟁탈전 행태를 멈추지 않고 있는 게 오늘의 한국 신문계라고 볼 수 있다.

모든 신문이 다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이상하게도 비교적 큰 신문, 그것도 흑자를 내는 서울소재의 신문이 시장질서를 문란케 하는데 문제가 더 크다.

▲신문시장 질서와 관련한 정부의 추진에 신문협회가 공식적으로 반대입장을 밝혔다.

"언론의 독립성과 자유로운 시장경쟁체제를 위해 법적 규제는 최소화해야 한다"면서 "자율규제에 맡겨 달라"는 게 핵심의 요지다.

정부가 신문시장에 직접 개입하려는 단초 제공은 일부 신문사들의 과도한 경품 제공 행위다.

자전거, TV 심지어는 비데까지 제공을 미끼로 신문보기를 권유하는 불공정이 공공연하게, 진행중이 아니라는 주장은 못한다.

따라서 공정거래 위원회의 신문유통 질서가 어지럽다는 판단도 가능한 대목이다.

▲신문시장 질서 확립도 당사자의 몫이다.

자율규제가 절대원칙이다.

근본적인 문제는 자율로 과연 문란한 신문시장 질서가 확립될 것인가 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일부 신문의 행적은 그렇게 떳떳하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약속 위반이 없었는지 살펴보면 이런 분석은 틀리지 않는다.

시장질서 확립이라는 해묵은 현안도 그렇지만 믿음이 가는 정보 획득과 전달의 윤리성 제고도 시급한 실천과제다.

의지와 실행이라야 사회적인 동의의 획득이다.

언론이 급변하는 사회 상황에 앞장서려면 도덕성 창출에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귀에 크게 울리는 요즘이다.

최종진 논설주간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