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은 북핵문제 해결협의를 위한 실질적 다자회담에 한국의 참여를 북한이 끝까지 거부할 경우 북.미.중간 3자회담 중단도 불사하는 등 다자대화에 대한 한국의 참여를 강력히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 당국자는 오는 23일 베이징(北京)에서 3자회담이 열리는 것과 관련, "본질적인 논의에 한국이 참여하지 않으면 회담을 중단시키면 된다"면서 "미국도 우리가 본질적 논의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회담을 진행하지 않는다고 약속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당국자는 "우리가 다자회담에 참여해야 한다는 결의는 단호하다"면서 "미국과 우리는 똑같은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일단 대화를 열어 긴장을 관리하고 이후 북한을 설득해 본질적인 문제 논의에 반드시 한국이 참여한다는 것이 한미 양국의 생각"이라면서 "한미 양국은 이번 회담을 예비적, 준비적, 절차적 성격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당국자는 "당장 이번 베이징 회담에서 한국의 참여 문제가 결론나지 않을경우 이 문제를 두고 계속 협의를 해나갈 것"이라면서 "이번 회담에서 향후 본격적인 회담의 의제나 운영방식 등이 한꺼번에 결론이 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미.일 3국은 18일 워싱턴에서 이수혁 외교부 차관보, 제임스 켈리미 국무부 동아태담당차관보 및 야부나카 미토시 일본 외무성 아주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3자회담을 앞둔 공동 대응책을 논의한다.
우리 정부는 "한국의 참여없는 본질적 회담은 없어야 한다"는 입장을 이수혁 차관보를 통해 미국측에 거듭 전달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윤영관 외교장관은 16일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 전화협의를 갖고 한국참여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장관은 통화후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문제는 한국이 참여한 뒤 시작될 것임을 약속했다"면서 "우리 정부의 입장은 한국이 참여하지 않는 장소에서 논의된 사항에서 초래된 부담을 지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필립 리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예비적 단계(preliminary step)로 미국과 중국, 북한이 빠르면 다음주 만날 것"이라고 말해 23일 3자회담이 본격적인 다자회담에 앞선 예비회담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우리는 한국과 일본이 이 회담의 초기부터 포함되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며, 그것이 우리의 우선사항중 하나가 될 것"이라면서 "우리는 첫번째 단계에서 상황이 어떻게 되는지 볼 것이며, 한국과 일본의 회담 참여를 위해 움직이고 압력을넣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커 대변인은 또 "북한, 중국과 논의할 문제중 하나는 북한이 어떻게 핵무기능력을 입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영구적으로 폐기하느냐는 것"이라면서 검증 가능한 핵폐기 문제를 집중 제기할 것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