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의 원인은 수를 헤아리지 못할만큼 많다.
일상생활 모두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스트레스 원인은 크게 △사회적 원인 △생물학적 원인 △성격적 원인 등으로 구분된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번 이상 비인간적인 조직의 특성이나 지나친 관료주의로 인해 비애나 좌절감을 느껴봤을 것이다.
승진이나 보직 이동에 있어 동료보다 뒤처졌을 때 스트레스를 받는다.
또 과다한 업무나 직장 상사와 불화 등으로 마음 고생을 하기도 한다.
최근 연세대 원주의대 예방의학교실 장세진 교수가 245개 사업체의 직장인 6천97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사람은 5%에 불과했다.
반면 잠재적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은 73%,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은 22%로 나타났다.
행동 유형별로는 공격적이고 성취욕구가 강한 사람과 직위가 낮은 사원급이나 교대 근무자들이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직무요구도가 높을수록, 직무상 재량권이나 직무자율성이 낮을수록, 그리고 동료나 상사의 지지가 낮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원인은 예를 들면 △불규칙한 생활과 잦은 야근 △지나친 음주나 비타민·영양소 부족 △소음공해 등이 있다.
같은 스트레스 환경에 놓여도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과 그렇지 않는 사람이 있다.
이는 성격적 원인에서 비롯된다.
모든 일을 완벽하게 처리하려는 사람이나 지나치게 다른 사람보다 앞서려 하는 사람, 시간에 쫓기는 사람은 스트레스를 쉽게, 그리고 많이 받는다.
예민하거나 소심한 성격, 열등감이 강한 사람도 스트레스란 덫에 잘 걸려든다.
박영우 대구파티마병원 신경정신과 과장은 "'내가 하는 일은 되는 게 없다', '성공하기 위해선 항상 완벽해야 한다'는 등의 비합리적 생각을 바로잡아야 한다.
대부분 스트레스가 이같은 잘못된 생각에서 비롯된다"고 조언했다.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은 스트레스 자체가 아니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다.
스트레스 없는 세상을 꿈꾸는 것은 유토피아를 상상하는 것과 같다.
스트레스는 피할 대상이 아니라 다스려야 할 대상이다.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면 우선 잘 먹어야 한다.
끼니를 거르지 말고 적절한 칼로리를 섭취하고 비타민B와 C 복합제를 하루 1알 정도 먹는 것이 좋다.
운동은 스트레스 호르몬을 적절히 소모시키고 뇌를 진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긴장된 근육이 이완되면서 정신적으로도 이완감과 안정감을 찾을 수 있다.
가장 간편한 운동으로는 긴장된 어깨나 목을 이완시켜 주는 스트레칭이 있다.
자연 속에서 할 수 있는 자전거 타기, 등산, 걷기 등도 도움이 된다.
최근에는 심신 이완요법으로 요가나, 단전호흡, 기공, 태극권 등이 각광을 받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이나 절친한 사람에게 속마음까지 터놓고 얘기하면 도움이 된다.
답답한 마음이나 정신적 고통은 남 앞에 쉽게 얘기할 수 없다.
그러나 나 아닌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하다보면 답답함이 조금 풀리고 자신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음주나 흡연, 문제회피 등은 일시적 효과에 불과하다.
술에 취하면 잠시 나쁜 기억을 지울 수 있지만 술 깨면 그만이다.
오히려 과음으로 인해 신체 건강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자칫 스트레스를 술로 풀다보면 알코올 중독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정호 인보당한의원 원장은 "마음의 여유를 가져야 스트레스를 다스릴 수 있다"며 "험담이나 질책 등 소리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는 좋은 음악을 듣고, 나쁜 장면이 자꾸 떠오를 때는 푸른 하늘과 바다를 보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김교영기자 kimky@imaeil.com
◇스트레스진단표
최근 1년 동안 경험했던 사건이 있다면 체크한다.
총점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100점 이하=과다한 긴장을 느끼지 않고 있다.
101~250점=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 셈이다.
250에 가까우면 한 해 동안 꽤 심한 변화를 겪은 것이다.
251점 이상=생활에 큰 변화를 경험했다.
이렇게 심한 변화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생활사건의 순위점 수
1. 배우자의 죽음100
2. 이혼73
3. 부부의 별거65
4. 유치장 구류63
5. 가까운 가족의 죽음63
6. 자신의 상처나 질병53
7. 결혼50
8. 직장에서 해고47
9. 부부간의 화해(조정)45
10. 퇴직이나 입사45
11. 가족의 건강상 변화44
12. 임신40
13. 성생활의 어려움39
14. 새 가족원이 생김39
15. 일의 적응39
16. 재정 상태의 변화38
17. 가까운 친구의 죽음37
18. 다른 업무에 배치36
19. 배우자와 논쟁횟수의 변화35
20. 800만원 이상의 저당31
21. 담보물권의 저당권 상실30
22. 업무상 책임의 변화29
23. 자식의 결혼29
24. 고부갈등29
25. 두드러진 개인적 성취28
26. 부인의 취직이나 퇴직26
27. 자녀의 입학이나 졸업26
28. 생활조건의 변화25
29. 개인습관의 수정24
30. 상사와의 갈등23
31. 작업시간이나 조건 변화20
32. 주거의 변화20
33. 자녀의 전학20
34. 취미. 오락의 변화19
35. 종교활동의 변화19
36. 사회활동의 변화18
37. 800만원 이하의 저당17
38. 수면습관의 변화16
39. 가족과 있는 횟수 변화15
40. 식습관 변화15
41. 휴가13
42. 설날(추석)12
43. 벌률상 경미한 위반행위11
〈자료='스트레스와 정신건강'(장현갑·강성군 지음)〉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