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경제부총리는 9일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대구 경제 회생 대책과 관련, "한방바이오밸리 조성 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한의학연구원을 대구에 설립토록 검토하고 있다"며 "섬유 기계 생명산업을 지원하고 대구~포항간 고속도로, 대구공항 확충을 예정대로 하겠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또 지하철참사 중앙로 피해 상가 대책에 대해 "피해상인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재특융자금은 관계부처와 기획예산처 장관과 협의해 연구해 보겠다"고 밝혔다.
한국지하철공사 설립에 대해 고건 국무총리는 "지하철 재정과 안전확보는 대구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적 사안이므로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면서 "국가운영을 포함한 몇가지 대안을 검토해 결정하겠다"고 답변했다.
지하철 전동차 내장재 교체와 관련, 고 총리는 "발화에 취약한 의자, 바닥재, 연결통로 주름막을 우선 교체하기 위해 428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며 "향후 건교부가 보다 강화된 안전기준을 마련하면 추가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피해자 보상책과 관련, 고 총리는 "대구 수창공원을 추모공원으로 조성키 위해 관련 법령을 개정중에 있다"며 "대구시, 유가족대책위와 협의해 실현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고 정부도 합리적 사업계획이 수립되도록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고 총리는 또 "대구지하철 사망.부상자의 손해사정액을 감안할 때 지방비 부담이 많은 점을 감안, 최대한 지원해 나가겠다"면서도 "다만 교부금 증액 문제는 예산편성 사항인 만큼 일단 예산 범위내에서 대책을 강구한 뒤 향후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유보적 반응을 보였다.
경부고속철도 대구~부산 구간 재검토와 김천역사 문제와 관련, 최종찬 건교부장관은 "경주~부산 구간의 천성산.금정산 관통 터널에 대해 불교계와 시민단체들이 문제를 제기, 노선 재검토위원회를 제안 중에 있으며 김천 중간역사 건립은 상반기중 검토,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박호군 과기부장관은 양성자가속기 사업에 대해 "핵폐기물 처리 시설과 연계해 추진하자는 산자부의 제안은 장기간 추진해온 사업이라 곤란하다고 회신한 바 있다"며 "현재 진행중인 현장조사와 패널평가, 종합평가를 거쳐 대상지를 최종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최재왕.김태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