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테크노폴리스' 大邱경제 産室돼야

입력 2003-04-09 11:56:2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외환위기 이후 대구지역 경제가 구심점을 잃고 수 년째 표류하고 있다.

아니 이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지역경제 회복의 '엔진'을 찾지못해 미래 지향적인 성장 동인(動因)조차 결핍됐다는 점일 것이다.

"대구에 장래가 보이지 않는다"는 자괴의 탄성이 쏟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소위 '지방화 시대'에 발전 전략을 중앙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

지역 내부에서 지역민 스스로가 지역 경제성장의 견인차를 만들어가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 대구시가 추진하는 '대구테크노폴리스'는 지역경제로서는 절체절명의 프로젝트다.

그 '대구테크노폴리스'가 마침내 청사진을 마련함으로써 지역경제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됐다.

대구시는 8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 2004년부터 2015년까지 12년간을 사업기간으로 하는 '대구테크노폴리스 및 연구개발집적지구 조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이에 따라 STEPI는 오는 9월에 중간보고 및 공청회, 11월에는 최종보고회를 거쳐 결과물이 연말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대구테크노폴리스'는 정부의 동북아중심 전략에 발맞춰 대구지역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신산업을 육성해 지역산업을 혁신하는 동시에, 과학기술시대에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역단위의 과학기술진흥 및 육성계획으로 요약된다.

달성군 논공읍 위천리 일대 570만평에 연구개발집적지구와 물류.비즈니스단지, 레저.위락단지, 친환경적 신도시, 낙동강변도로 등으로 연계되는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장기 전략이다.

그러나 '대구테크노폴리스'는 이제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

특히 대구시는 지난 7년 동안 추진해 온 위천국가공단 조성이 낙동강 상수원의 오염을 우려하는 부산.경남 하류 지역민의 반발에 부딪혀 결국 무산되는 아픈 생채기를 안고 있지 않는가. 이제 새로운 방향으로 추진되는만큼 그동안의 문제점들을 교훈삼아 보다 거시적인 안목으로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해야한다.

무엇보다 '대구테크노폴리스'는 인근 지자체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간다는 '윈-윈'전략을 기본정신으로 해야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