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폐기장 당근정책 울진.영덕 수용여부 촉각

입력 2003-03-28 11:58:2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자회사 본사 이전에서 대형 국책사업인 양성자가속기 사업까지…'.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주)이 지역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힌 핵폐기장 건설 추진을 위해 유치지역에 3천억원의 지원금과 사회간접자본사업 지원 외에 한전 및 한수원 관련 기관의 본사 이전, 첨단 연구시설인 양성자가속기 설치 등의 '히든카드'를 내놓았다.

산업자원부가 지난 25일 노무현 대통령에게 업무보고한 이 인센티브 제공방안은 지방 세수증대와 지역주민 고용창출.유동인구 증가라는 측면에서 지역경제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울진.영덕을 비롯한 핵폐기장 후보지로 지정된 지역 주민들의 수용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양성자 가속기가 들어서면 10만~30만평 정도의 부지에 2012년까지 사업비 약 1천300억원과 연인원 800여명의 전문인력 투입이 예상돼 이를 중심으로 과학기술단지나 산업단지가 구축될 수 있어 엄청난 경제적 부가가치 유발 및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산자부와 한수원이 밝히고 있는 본사 이전은 한전의 송.배전 자회사나 원자력환경기술원 등의 원자력 및 전력관련 기관들 중 한 두 기관으로 주민들이 요구할 경우 한전이나 한수원의 본사 이전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이들 기관이 이전해 올 경우 외주업체 협력업체들의 연쇄이주가 이어져, 특히 지역물품구매.지역민 고용창출은 물론 이를 통한 지방세수 증대와 유동인구 증가.금융기관 활성화 등 지역경제 발전에 적잖은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대한 울진.영덕지역의 전체적인 여론은 아직 꿈쩍도 않는 분위기다.

다만 일부 주민들은 핵폐기장을 수용해 반대급부로 주어지는 지원금으로 낙후된 지역경제를 살리자는 견해를 조심스럽게 밝히고 있다.

반면 또 다른 주민들은 핵폐기장이 들어서면 농수산물의 재배 및 판매가 불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관광산업에도 결정타를 입어 지역경제의 몰락이 불을 보듯 뻔하다며 여전히 반대 입장을 펴고있다.

수용론을 거론하고 있는 주민들은 "울진.영덕이 살 길은 원자력과 관광특화밖에 없는 만큼, 3천억원의 지원금 외에도 파급효과가 엄청난 본사 이전.양성자 가속기 사업 추진을 통해 울진의 역사를 바꾸자"는 긍정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반대론을 제기하는 다수의 주민들은 이는 정부와 한수원이 핵폐기장을 집어넣기 위한 헛공약 내지는 사탕발림이라고 반박했다.

주민 최선균(48.울진)씨는 "본사를 지방에 두고 서울에 사무소를 둔 일부 기업들의 경우를 보더라도 본사 기능은 사실상 서울에 있다"며 "산자부 등 업무와 관련된 부처가 모두 서울에 몰려 있는 상황에서 지방으로의 본사 이전은 헛공약일 공산이 크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영덕의 한 주민은 "정부가 최소 1조원 이상의 지원금을 내놓고 원자력 관련 본사를 이전하는 등의 실질적인 안을 제시한다면, 상황은 달라질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반핵단체의 한 관계자는 "울진 북면의 4기 추가원전 건설 약속사업인 14개 주민 요구사항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정부와 한수원"이라며 "우리가 바라는 것은 본사 이전도 양성자 가속기도 아닌 완전한 핵종식 보장"이라고 강조했다.

영덕 최윤채.울진 황이주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