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참사로 최악의 경제위기를 맞고 있는 대구, 경북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대구를 중심으로 하는 광역권 개발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수년째 공기가 지연되고 있는 대구~포항간 고속도로가 시급하게 완공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매일신문이 주최한 대구 경제진단 간담회에 참석한 노희찬 대구상의 회장과 김극년 대구은행장, 계명대 김한규 교수는 "지난 5년간 국고지원이 지연되면서 대구~포항간 고속도로 준공이 기약없이 늦어지고 있다"며 "대구.경북의 교통망 미비로 광역권 개발이 지체되는 만큼 교통 인프라 구축에 정부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대구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구만의 개발은 의미가 없다"며 "대구에 공단을 유치하기 위해 열을 올리기 보다, 고속도로로 연결되는 대구~포항 중간에 산업공단을 육성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대구가 센터역할을 하는 광역행정권을 구성하면 대구~영천~포항~구미 전부가 대구권"이라며 "대구.경북이 우선 경제적으로 통합하는 작업부터 시행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노희찬 대구상의 회장도 "대구~포항간 산업도로가 개통되면 포항은 대구에서 40분 거리로 포항이 대구의 외항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며 "포항을 국제신항만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 회장은 "대구는 테크노폴리스를, 경북은 포항항만을 건설하면서 200만평 공단조성을 계획하고 있다"며 "대구.경북이 하루 빨리 서로 접근성을 높여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구~포항간 고속도로는 2002년 완공을 목표로 지난 1999년 착공됐으나 예산확보가 지연되면서 당초 예정됐던 준공시기를 넘겨 2005년으로 미뤄졌으나 이마저 예산확보 차질과 연결도로 공사 미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창룡기자 jcy@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