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시문 독해 전략

입력 2003-01-03 15:40:3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분석적으로 읽어라

논술에서는 제시문을 얼마나 정확하게 읽어내느냐에 따라 출제자가 원하는 답에 얼마나 가까운 논술문을 쓸 수 있느냐가 결정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제시문을 읽을 때는 우선 글의 내용과 저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시문이 갖는 고전적 의미와 주제에 대한 배경 지식을 최대한 활용하며 읽어라. 예를 들어 환경에 관한 제시문이 출제되었을 경우, 인간 중심주의 세계관과 생태학적 세계관에 대한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글을 이해한다.

△논제에 따라 글을 읽는 목적을 명확히 세우고, 글을 읽어라. 대부분의 경우 논제가 제시하는 과제가 글을 읽는 목적이 될 것이다.

따라서, 논제를 정확히 분석한 뒤 논제의 요구를 항상 머릿속에 두고 그것을 지침으로 글을 읽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결과에 대한 원인을 밝혀라.'라는 논제가 있다면, 제시문을 읽는 목적은 결과에 대한 원인을 밝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결과에 대한 원인이 드러나 있는 곳을 찾으려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읽는 목적이 막연한 제시문 읽기는 시간을 낭비하고 핵심을 도출해 내기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많다.

△사실문과 의견문을 구별하여 읽어라.

△문단별 주제를 메모하고, 그것을 통해 간단한 개요를 작성하라.

△저자가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 의식을 규정하라.

△논제와 관련된 암시 부분은 읽는 속도를 늦추고, 단어.문장.문단 차원에서 세세히 살펴본 후 그 의미를 꼼꼼히 따져 보라.

▨비판적으로 읽어라

글을 읽는 목적은 저자의 의도를 그대로 수용하기 위한 데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때문에, 독자는 글에 대해 반론을 제기할 수도 있고 저자의 주장에 들어 있는 논리적 오류를 찾아 비판을 가할 수도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읽기와 듣기를 수동적인 사고 작용이라고 보는데, 그것은 비판적인 읽기와 듣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비판적 읽기는 능동적인 읽기 활동 중에 가장 핵심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글을 읽으면서 반론이 생각나면, 그때그때 여백에다 메모를 하면서 읽어라.

△저자의 주장에 논리적 오류가 있는지를 점검하며 읽어라. 쉽게 지나쳐 버릴 수 있는 전제에 대한 오류나 일반화의 오류가 있는지를 점검하며 읽는다.

△저자의 분석이나 설명이 불충분한 곳이 어디인지를 제기하라.

△저자의 주장과 근거가 타당한지를 검토하라. 저자의 주장과 근거가 긴밀한 관계에 있는가? 저자의 주장이 보편적인 진리(상식)에 부합하는가? 저자의 주장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리가 있는가? 저자의 주장을 설명하는 데 빠뜨린 예는 없는가?

△저자의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라.

▨비교하며 읽어라

고전 텍스트 논술 문제 중에 대부분이 두 개 이상의 제시문을 주며, 각 제시문 사이의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밝히는 논제를 제시하기도 한다.

이렇게 제시문이 여러 개로 출제될 경우를 대비해서, 여러 글을 동시에 비교하며 읽는 방법을 알아두어야 한다.

평소 고전을 읽을 때 하나의 고전적 주제에 대해 여러 책을 비교하면서 읽는 것이 좋다.

△저자들 사이의 논쟁이 되고 있는 중심 소재.쟁점을 찾아라.

△저자들 사이에 사용되는 동일한 개념의 서로 다른 용어들을 자신의 용어로 통일하라.

△주장들의 장단점을 밝히고, 그 의미와 한계를 밝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