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세대교체'론 갈등

입력 2002-12-27 12:14:00

민주당 쇄신과 정풍을 책임질 개혁특위 구성이 오는 30일 이후로 미뤄지게 됐다. 27일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당 개혁특위 위원을 15명으로 하고 지역적 안배를 고려키로 했으나 참여 인선을 결정짓지는 못했다.

문석호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최고위원 회의에서 특위위원이 실명으로 거론되지는 않았다"며 "오는 30일 예정된 최고위원 회의 때 최종 인선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최고위원 회의는 또 특위위원 선정과 관련, 한화갑 대표에게 전권을 위임하되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측과 협의해 결정키로 했다. 그러나 개혁파 강경그룹을 중심으로 한 신주류에서는 지도부 선(先)사퇴 후 특위구성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여전히 갈등의 불씨는 살아 있다.

◇주요 현안=개혁특위는 조기 전당대회 여부를 비롯해 원내 정책중심 정당, 진성당원을 중심으로 한 지구당 개편 등 정당개혁 방안과 신당 창당론 등 당 쇄신방안을 다각도로 심의, 의결하게 한다.

우선 조기 전대의 경우 한 대표가 조기 전대에 동의한 이상노 당선자의 취임전인 내년 1월이나 2월초 전대를 열어 지도체제를 개편할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대의원 구성방식을 두고 신.구주류간 불협화음도 예상된다. 신주류측은 동교동계가 다수를 장악하고 있는 현 대의원 구조로는 획기적인 당 변화를 꾀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적 인구비례나 국민경선과 유사한 방식으로 대의원이 선출될 가능성이 크다.

중앙.지구당 폐지론을 비롯한 정당개혁 방안에 대해선 신.구주류간 큰 이견이 없다. '공룡정당'의 폐해에 정치권 전체가 공감하는 만큼 원내 중심체제로 전환하자는 방안에 비교적 공감하는 편이다.

그러나 2004년 총선을 앞두고 있다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다는 점이 과제다. 지구당을 무작정 폐지할 경우 조직력 싸움에서 한나라당에 밀릴 수밖에 없다는 것.

특히 정대철 선대위원장을 비롯 이해찬 신기남 이상수 의원 등 선대위 핵심인사들도 "중앙.지구당 폐지론이 비현실적"이라며 "총선을 염두에 두고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다소 중도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다.

◇남은 과제=개혁특위 인선계획이 드러났으나 개혁파 강경그룹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여 특위가 제대로 가동될 지는 의문점으로 남는다.신주류들은 "쇄신대상인 지도부가 특위 인선을 결정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문한다.

심지어 일각에서는 "당의 발전적 해체 이후 신당창당 입장"을고수하고 있다. 이미 최고위원직을 사퇴한 신기남.추미애 의원을 비롯 정동영 고문 등과 송영길.이종걸.임종석 의원 등 386세대 의원들도 현 지도부의사퇴와 개혁적 국민정당 지도부 구성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한 대표가 특위인선을 노 당선자측과 협의해 결정키로 한 만큼 '노심(盧心)'여하에 따라 개혁파 의원들이 한발 물러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한나라당은 26일 연찬회를 통해 최대 쟁점으로 부각돼온 당지도부 사퇴시기와 관련, 논란을 거듭한 끝에 내년 2, 3월중으로 예정돼 있는 전당대회 때까지 현재의 최고위원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일단 가닥을 잡았다.

결국 전대까지 당쇄신안 등을 논의할 비대위와 일상적인 당무를 맡을최고위가 병립하게 되는 셈이다.

그러나 즉각적인 사퇴를 요구해온 미래연대 등 소장.개혁파 원내.외위원장들은 이에 반발, 대책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져 양측간 갈등은 오히려 심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비상대책기구에 대해서도 "설치한다"는 총론적인 차원에서만 합의가 이뤄졌을 뿐 구체적인 활동방향과 인적구성 등에 대한 논의를 둘러싸곤 계파간 혹은 지역간 팽팽히 맞서 있는 것이다.

원내정당화 문제 역시 원외위원장과 일부 의원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이날 오전 10시 천안연수원에서 열린 원내외 지구당위원장 연찬회는 지역별 분임토의까지 갖는 등 12시간동안 격론을 벌였다. 발언자만 해도 46명이나 됐다.

토론회가 시작되자마자 권오을, 원희룡 의원 등 미래연대 측 인사들이 잇따라 발언을 신청, 지도부의 즉각적인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백승홍, 이해봉 의원 등은 "현 지도부가 사퇴할 경우 당무를 처리할 주체가 없어진다"며 "비대위를 구성, 당을 안정시키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맞섰다.

이처럼 논란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서청원 대표는 오후 늦게 최고위원들과 구수회의를 한 뒤 총사퇴를 선언했다. 선언직후 소장파 측에선 이를 기정사실화하며 비대위의 조속한 설치를 위한 논의 쪽으로 몰아갔다.

그러자 영남권을 중심으로 다수 의원들이 "지도부 공백으로 당이 쪼개진다"며 사퇴 철회를 요구, 결국 서 대표 등은 사의를 번복하게 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지도부의 즉각 사퇴요구와 관련, 비주류 중진 사주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지역별 분임토의 과정에서 대구출신 의원들도 지도부 사퇴시기에 대해 이견을 표출했다. 다만 당무관리를 위해 전대까지 당 3역체제를 존속시키는 한편 비대위를 조속히 구성키로 하고 그 인적구성은 노.장.청 조화 및 지역별 안배 원칙아래 시.도별 2명씩 30여명으로 하며 중앙당은 대폭 축소하나 지구당은 존속시키기로 의견을 모았다.

경북 의원들도 비대위를 즉각 구성하고 원외위원장과 외부인사까지 포함, 지역별.선수별로 20명안팎을 위원으로 한다는 등의 합의를 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