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러쓴 모자속에새벽을 담고
가난한 정성을 쥐어주는
아내의 눈인사를 받으면
제 온도보다 조금 더
높아지는 도시락
하루의 생존을
이마에 묶고 꿈을 절구는
아픈 갈증을 동여 매면
미끄럼을 타는 땀줄기
놀이터의 아들이 떠오르고
쨍쨍한 햇발
아픈 허리를 태운다
-박병영 '어떤 일상(日常)'
※이른 새벽 모자를 눌러쓰고 일과를 나서는 가장, 아내가 건네주는 도시락은 따뜻한 온기가 있다. 보자기에 싼 도시락을 허리에 꿰차거나 자전거 뒷자리에 묶어 신나게 페달을 밟던 풍경은 확실히 70년대 풍이다.
이 시에서 보이는 정서는 바로 그 70년대 풍이다. 가난과 촌스러움의 얼룩이 약간은 남아있다. 하지만 그게 아름답다. 잘 빚어진 매끄러운 시보다 약간은 빈 듯한 거친 시가 독자의 가슴을 때리는 것은 짙은 삶의 페이소스 때문이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