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30 단일화 되면… 한나라 판세 분석

입력 2002-11-19 00:00:00

민주당 노무현, 국민통합 21 정몽준 후보간에 단일화가 이뤄진다면 대선 판세는 어떻게 될까. 그리고 이회창 후보 입장에선 누가 상대하기 더 쉬울까.이들 문제를 둘러싸고 한나라당내 당직자들간에는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 판세의 향배와 관련, 어느 후보로 단일화돼도 결국 현 정권을 승계하는 여당 후보라는 이미지가 더욱 고착화됨으로써 전선을 더욱 단순화, 이회창 후보에게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다는 낙관론이 제기되고 있다.

한나라당이 후보단일화 합의이후 연일 "단일 후보는 DJ 후계자이자 부패정권 계승자"라는 점을 집중 부각시키고 있는 것과도 맥이 닿아 있다. 즉 향후 선거전에서 현 정권 실정 등을 쟁점화, 계속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지역구도 역시 심화될 것이란 판단이다. 단일 후보가 현 정권과 민주당의 텃밭격인 호남지역으로 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는 것으로 드러날 경우 오히려 역풍으로 작용, 영남권을 더욱 결집시키게 됨으로써 이 후보에게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지역구도가 고착화될 경우 호남 대 비호남 구도로도 몰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일화 경계론도 적지않다. 노풍과 정풍에 이어 '단일화 바람'이 일 경우 선거전 막판에 이 후보에게 적지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노, 정 후보 쪽에선 당초 예상과는 달리 단일화 시기를 최대한 늦추면서 극적인 효과를 유도하게 될 것이란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또한 두 후보 모두 영남권에 일정 수준 지지기반을 갖고 있는 데다 단일 후보와 선대위원장으로 역할을 분담, 선거를 치를 경우 시너지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것.

구체적으로 어느 후보가 상대하기 편할 지에 대해서도 갑론을박중이다.노 후보가 편하다는 쪽은 대선구도를 '보수 대 진보' 구도로 몰아갈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후보가 승리하게 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게다가 전략지로 꼽히는 충청권을 둘러싸고도 정 후보에 비해 노 후보가 상대하기 쉽고 특히 보수성향인 자민련이 합류하기 어렵다는 점 등도 지적되고 있다.

반면 정 후보를 꼽는 시각은 노 후보에 비해 지지기반의 결집력이 약한데다 수도권의 개혁성향 유권자들을 끌어들이는 데도 한계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거론하고 있다. 게다가 향후 그에 대한 검증과정에서 현대전자 주가조작 사건 등 공격거리도 적지않다는 것이다.

특히 군소정당의 후보가 기존의 여당 후보를 누르고 단일 후보로 부상할 경우 현 정권과 결부된 음모론을 부각시킬 수 있는 여지가 더욱 커진다는 주장이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