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달서구 예림 학원 원장 이순자(44)씨. 16년 동안 아이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친 사람이다. 가르치는 일에 인이 박히고 눈감고도 가르칠 만큼 됐을 게 틀림없다. 그러나 그는 배우기를 멈추지 않는 사람이다. 전국은 물론이고 러시아를 오가며 지금도 새로운 피아노 교수법을 배운다. 아는 만큼 가르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학교 졸업하고 한 5년 동안은 무작정 가르쳤어요. 그런데 이게 아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원장은 학창 시절 배운 것에서 한 걸음도 더 나아가지 못한 채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자신이 못마땅했다고 말한다. 창조적이고 아름다워야 할 음악이 반복 암기 기술습득에 머물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늘 배우기를 멈추지 않기 때문일까 그의 학원엔 원생이 넘쳐난다. 음악학원 하면 떠올리는 그렇고 그런 상상을 넘어서 있었다. 피아노 교사인 이 원장은 매월 셋째 주에는 사물놀이를 가르친다. 그는 한국 사람이 우리 가락을 모른 채 제대로 된 외국 음악을 배울 수는 없다고 말한다. 이 원장은 대학시절 피아노를 전공했지만 사물놀이 동아리 활동을 한 덕분에 징 북 꽹과리 장구 솜씨도 일품이다. 상인 중학교에서 사물놀이를 가르치기도 했다.
"학교 교과서의 30%가 전래 동요에요. 학교에서도 가르치겠지만 아무래도 선생님들이 전래동요엔 좀 약한 게 사실이거든요. 그래서 일부 선생님들은 얼렁뚱땅 넘어가기도 하고요". 그가 전래동요와 사물놀이 교육을 고집하는 이유다. 5년 전부터는 겨울과 여름 방학 때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전래동요'와 징 장구 꽹과리 북을 무료로 가르치고 있다. 그렇게 배운 선생님들이 우리 아이들에게 고스란히 가르쳐 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원장은 요즘 '뮤직 가-튼'이라는 영유아 음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음악적 토양을 제공해야 음악을 생활 속에 당겨 놓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유럽 같은 선진국에서는 음악이 생활의 일부가 돼 있어요. 그에 반해 우리나라에서 음악 미술은 특별한 과외에 머물 뿐이고요". 우리나라 가정은 비용문제에 부딪히면 제일 먼저 포기하는 게 음악이고 미술이라며 그는 안타까워한다.
"어릴 때부터 음악을 많이 접한 아이들은 그렇지 못한 아이들보다 훨씬 부드럽습니다. 스펀지처럼 매사를 흡수하는 능력이 있어요. 예민한 청소년기를 무사히 넘기는 데도 큰 도움이 되고요". 그는 가정에서 주부들이 종일 텔레비전을 켜 놓는 대신 음악을 틀어놓고 여유를 즐겨볼 것을 권유한다. 아이들은 부드러워질 뿐만 아니라 생활에 리듬을 부여할 줄도 알게된다는 것이다.
조두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尹 탄핵 집회 참석한 이원종 "그만 내려와라, 징그럽다"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