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건 국가정보원장이 지난 24일 국회 정보위에서 "북한이 지난 92년 5월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사찰 이전에 7~22kg의 플루토늄을 추출해 조잡한 형태의 핵무기 1~3개를 제조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고한 것으로 26일 확인됐다.
국정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신 건 원장이 '북한이 10-30kg의 농축우라늄을 확보해 조악한 수준의 핵폭탄 1~3개를 만들 수 있을 가능성이 50% 이상'이라고 보고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를 부인하며 이같이 밝혔다.
신 원장은 또 "농축우라늄을 사용한 핵무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연구→실험→생산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북한의 현재 농축우라늄 개발 수준에 대해선 한.미 정보기관간에 규명중"이라고 보고했다고 국정원은 덧붙였다.
북한의 플루토늄 핵무기와 관련, 미국은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최근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1990년대 초 이후 정보분석을 통해 북한이 1~2개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평가해 왔다"고 밝히는 등 오랫동안 핵보유 가능성을 언급해왔으나 우리 정보기관 책임자가 북한의 핵무기 제조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어서 주목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