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본격적인 추곡 수매가 시작된다. 추곡 수매 때 농산물 수매등급 표시(기호)가 근 반세기의 세월이 가깝도록개선되지 않은 채 지금까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알기 쉬운 한글이나 아라비아 숫자로 바꿔야 한다.
농민들이 한글을 제대로 읽지 못했던 1950년대에 국립 농산물 검역소가 벼, 보리, 특수작물의 수매함에 표시한 기호인 1등급(겹동그라미형), 2등급(8자형), 등외(삼각형)가 아직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요즘 도시에서 귀농한 후 처음 농사를 짓는 사람이나 수매 경험이 없는사람과 고령의 농민들이 농산물 수매 현장에서 자신의 농산물이 몇 등급인지를 몰라 수매가 계산에 혼선을 빚는 사례가 자주 발생한다.
낫으로 베어 벼를 수확하던 원시 농업에서 콤바인 농기계로 발전된 현시점까지 문맹자를 위한 상형문자 같은 등급증인을 계속 사용한다는 것은관계기관의 시대 감각의 둔함과 업무 개선의 소홀함을 보는 것 같다. 때늦은 감은 들겠지만 올해 벼 수매 때부터는 알기쉬운 우리의 한글 또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했으면 한다.
오미숙(대구시 신기동)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