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주민 지역발전 이유 "핵폐기장 들어서도 좋다"

입력 2002-10-09 14:56:00

4기 원전 추가 건설을 조건으로 핵 종식을 약속받은 울진군에서 일부 주민들이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유치를 희망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이들 주민들은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유치시 반대급부로 주어지는 3천억원의 지원금에 대한 활용방안을 전문연구기관에 의뢰하는 한편 구체적인 울진군 개발계획까지 수립해 놓고 대대적인 홍보를 벌이고 있어 그 귀추가 주목된다.

울진군 10개 읍면 100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유치위원회는 8일부터 군민들을 상대로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건설의 시급성과 울진건설 타당성 홍보 및 유치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유치위는 전체 군민 의사를 물어 유치여부를 결정하는 주민 투표제 도입 요구와 함께 주민 과반수 이상의 서명을 받아 유치 청원서를 군청에 제출하고 한국수력원자력(주)과 정부측에도 유치를 희망하는 서한을 발송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치위는 또 전문연구기관의 용역 결과를 토대로 지원금 3천억원으로 콘도 골프장 해안생태관광지 조성 등 울진 해양리조트 사업에 투자해 울진을 세계적 관광지로 탈바꿈 시킨다는 개발계획을 세우고 군민 전체가 주주인 주식회사를 설립해 개발 이익 및 운영수익이 군민 전체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유치위는 "지역 발전의 기폭제 역할을 할 3천억원의 지원금 외에도 부지 매입비 유입, 고용창출 효과, 지방세수 증대 등 유치 파급효과는 엄청날 것"이라며 "원자력의 안전성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유치운동을 펼치게 됐다"고 배경을 밝혔다.

그러나 반핵단체들은 "지난 99년 4기 추가 원전건설을 수용하는 조건으로 울진에 더 이상 핵 관련 시설을 건설하지 않겠다고 정부측이 약속한 상황에서 핵 폐기장 유치 운동이 또다시 전개되고 있는 것은 정부와 한수원측의 음모"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주)은 지난해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부지 유치 공모에 실패하자 사업자 주도방식으로 전환, 올 연말까지 3,4곳의 후보지 중 한 곳을 최종 부지로 선정해 2008년까지 60여만평 규모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을 완공한다는 방침이다.

울진.황이주기자 ijhwang@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