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대통령 특사자격으로 방북한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를 비롯한 미국 대표단은 4일 평양에서 북측대표단과 본회담을 갖고 북미현안에 대한 조율을 시도했다.
켈리 특사를 비롯한 미국 대표단은 이에 앞서 3일 평양에 도착한 뒤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 등 북측 대표단과 1차회담을 갖고 회담 일정 등을 조율한 뒤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반을 설명한 뒤 북측 대표단과 비공식 만찬을 가졌다.
당초 켈리 특사의 북측 회담상대는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이 될 것으로예상됐으나 첫날 회담에는 강 제1부상 보다 서열이 낮은 김 부상이 나왔다.
정부 당국자는 "어제 회담은 예비접촉에 불과했으며 오늘이 본회담이 될 것"이라면서 "본회담에는 김 부상 대신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리처드 바우처 국무부 대변인은 3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켈리 특사의 방북 목적은 북한과의 포괄적인 대화를 모색하는 한편 미국의 대북정책을 설명하고 미국이 오랫동안 우려한 광범위한 문제들에 대한 진전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바우처 대변인은 그러나 "실질적인 대화로 가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밝힌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켈리 특사가 만나느냐'는 질문에 "이 시점에서는 앞으로 있을 회담에 관한 소식이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북한의 제네바 기본합의에 따른 즉각적인 북한의 핵사찰 수용과 미사일 생산·수출 중단 등 대량살상무기(WMD) 문제 해결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북측이 회담에서 밝힌 입장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체제안전보장과 테러지원국해제 등 대북 적대시 정책 포기, 경수로 지연보상 등을 요구한 것으로 관측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