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가 각종 정책사업을 펴면서 계획 단계와 준공때의 예산 차이가 너무 커 면밀한 사업 검토없이 주먹구구식 행정을 펴고 있다는 지적이다.성주군의 경우 문화예술회관을 건립하면서 1996년 당초 계획때는 45억원의 예산을 생각했으나 여성복지센터가 들어가면서 2000년 154억원으로 예산을 크게 늘려 착공했다.
또 군은 공사착공 때 일부 예산이 확보되지 않은데다 주민들이 주민감사를 청구하는 등 말썽이 일자 120억원에 본공사를계약, 20%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었다.
그러나 공사과정에서 몇차례 설계변경 등을 통해 조경·조형물을 위한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며 당초 예산 154억원이 모두 들어갔다. 예산절감은 생색만 낸 셈.더구나 매년 20~30억원의 운영비가 소요될 전망이어서 회관이 개원도 하기전에 애물단지 소리를 듣게 될 처지다.
또 수륜면 백운리 일대의 가야산 야생화 생태식물원 조성사업도 처음에는 2천만원을 들여 1회성 축제로 계획했다가 생태식물원 조성계획에 따라 2만7천여㎡ 규모에 15억원으로 늘렸고 몇차례 계획이 수정되면서 5만여㎡ 65억원으로 예산이 대폭 증액됐다. 이에따라 군비 부담이 크게 늘었다.
이밖에 삼산리 일대에 4억원을 들여 조성중인 삼림욕장도 교육청 부지의 무상대여가 차질을 빚는 바람에 부지매입비로1억5천만원을 추가로 들이는 등 계획단계에서의 충분치 못한 사업검토로 추가예산을 들이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이에 대해 전수복 성주군의회 의장은 "문화예술회관은 건립 당시부터 문제가 많았다"며 "특히 군 재정능력을 감안하지 않고 추진해 앞으로 운영과정에 더 많은 문제점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사회단체 대표는 "공무원들이 사전에 철저한 검증없이 우선 하고보자식 일처리로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며 "대형사업의 경우 공청회 등 주민여론 수렴을 거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성주군 관계자는 "사업을 추진하다보면 돈 쓸곳이 늘게 마련"이라고 말했다.
성주·박용우기자 yw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