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1월
지하실 고문 나흘째
욕설, 협박, 주먹질, 매질, 회유, 통닭구이, 물고문, 전기고문….
가물가물 정신이 들라치면
이승사자는 또 다그친다
"박종건이 어디있노?"
"몰라요"
"대라!"
"몰라요"
"엇서!"
"몰라요"
사자는 종철이 머리를 또 물통에 처박는다.
"억!"
땅덩이가 꺼지는 마지막 비명
이렇게 박종철은 부활했다
유월항쟁의 횃불이여!
-이기형 '모른다-박종철은 고문에 이겼다'
미수(米壽 여든 여덟 살)의 노시인이 쓴 근작이다. 하지만 그의 시정신은 아직 청년이다. 최근 한 민영방송이 박종철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 월드컵 열기에 묻혀 시청률은 10%였다고 한다.
붉은 악마를 비롯해 월드컵에 열광하면서 마음껏 젊음을 발산하는 청춘들이 솔직히 부러웠다. 그들이 발산하는 발랄함과 뜨거운 자유의 열기 이면에는 박종철같은 또다른 청춘들의 비명이 있었다. 그것을 기억하는 것이 역사이다.
김용락〈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