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에는 엄마보다 더 커버린 첫 딸, 그리고 이제 제법 어깨에 힘을 주고 다니는 아들, 그 두 아이 외에 또 한 아이가 있다. 원래 계획에 없었지만 뒤늦게 생겨서 낳은, 유치원에 다니는 예쁜 막내딸이다.
연구실에 있다가도 이 아이를 생각하면 얼른 가서 보고 싶기도 하다. 그런 이 아이를 볼 때면 갑자기 나의 표정이 너무 너무 달라진다고 아이 엄마는 오히려 그러지 말라고 말릴 정도이다.
그런데 어느 날 이 아이가 뜻밖의 말을 하는 것이었다. "아빠, 아빠 정말로 박사 맞아요?" 그래서, 교수들은 거의 다 박사이고 박사학위 받은 패도 집에 놓여있지 않느냐고 반문을 했다. 그런데 그 때,"그래요? 그러면 내가 정말로 박사가 맞는지 시험해볼래요".
그러더니 손을 끌며 자기가 쓰던 문구 앞으로 데리고 갔다. 거기에는 여러 가지 색종이가 놓여 있었다. 그 중에 한 장을 주면서 "아빠, 이걸로 학을 만들어 보세요. 학을 만들 줄 알면 박사가 맞는 것으로 할게요"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만들 줄 모른다고 하니까, 그 얼굴에 잔뜩 실망하는 표정을 지어 보였다.
그리고는, "아빠, 그러면 한 가지 더 시험해 볼게요"하더니 동요 중에 무슨 노래를 불러보라는 것이었다. "아빠는 그것도 못 부르는데…" 그러한 아빠를 보고 그 아이는 더욱 어이없는 표정을 지었다.
나는 이 우스갯소리를 아무에게나 한다. 그러나 그런 말을 하면서도 문득 머리를 스치는 생각이 있다. '혹시 나도 남을 나의 잣대에 맞추어 생각하고, 나의 기준대로 평가하고 또 말하고 있지는 않는가?'하는 것이다.
판단의 기준! 이것은 참으로 중요한 것이다. 어떤 기준으로 남을 판단하느냐에 따라 엄청나게 다른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남을 함부로 판단할 수 없다. '남을 판단하기에 앞서서 과연 분명한 기준이 나에게 있는가를 생각해 보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스스로 반문해 본다.
이춘길(경일대 교수.섬유패션)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