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대한 수출이 올들어 큰 폭으로 감소한 가운데 일본 시장에서 우리 제품의 경쟁력 자체가 엔저 영향 등으로 크게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는 8일 일본 현지 통계를 인용, 올 1, 2월 일본의 전체 수입은 6조6천108억엔으로 작년 동기보다 6.2% 감소한 반면 한국산 수입은 2천901억엔으로 24.0% 줄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일본의 가장 큰 수입국인 미국산 제품(1조1천615억엔)의 수입은 11.5% 감소했으며 제2 수입국인 중국산(1조1천455억엔)은 오히려 13.6% 증가했다.
지난해 8번째 수입국이었던 호주산 제품의 수입도 9.1% 증가하면서 올 1~2월에는 3위로 뛰어올라 우리나라는 지난해 3위권 수입국에서 4위권으로 한단계 떨어졌다.대만산도 17.7%의 감소에 그쳐 올해 일본의 상위 5대 수입국중 한국산 제품의 수입 감소율이 가장 컸다.
이에 따라 일본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은 작년 동기 5.4%에서 올해는 4.4% 수준으로 1%포인트 하락했다.
KOTRA 관계자는 "중국 제품의 공세 등 영향도 있지만 대일 거래에서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엔화 결제 비중이 많은 편이어서 엔화 약세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고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대일 무역수지 역조도 악화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 1~2월 대일 무역수지 적자는 17억2천923만달러로 작년 동기의 13억172만달러에 비해 32.8%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대일 무역수지 적자는 경기침체에 따른 기업들의 설비투자 감소 등의 영향으로 101억2천76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2000년의 113억6천192만달러보다10.8% 축소된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