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어떻게 결정되나

입력 2002-04-08 14:59:00

국내 기름값은 국제원유가는 물론 환율과 국제시장 유종별 제품가격, 국내외 수급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결정된다고 정유사들은 설명한다.

정유업계에 따르면 지난 97년 이전에는 휘발유 공장도가격은 국제원유가 및 환율변동을 바탕으로 결정됐다. 그러나 가격 및 수입자유화가 이뤄지면서 과당경쟁 등이 일어났고 원유가 변동에 따른 가격결정은 정유사의 폭리와 담합에 이용된다는 비난여론이 거셌다.

이에 따라 현재 가격결정은 국제원유가 보다는 국제시장의 제품가격변동에 따르는 방법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매월초에 가격변동이 있었지만 지금은 수시로 공장도가격이 조정됨에 따라 소비자 입장에서는 일부 혼란과 불만이 있을 수 있다"며 "하지만 이는 석유시장의 개방화와 자유화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국제시장 제품가격을 기준으로 한 국내유가 결정은 외국의 수급상황에 따라 국내 석유제품 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데다 에너지 문제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정유사들이 형식상 국제시장 제품가격을 내세우면서 실제 국제유가 변동도 그대로 국내 기름값에 적용하는 편의적인 잣대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

모현철기자 mohc@imaeil.com

최신 기사